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4.jpg
KCI등재 학술저널

도시홍수 통합관리모델 수립연구

A Study on Urban Flood Integrated Management Model: A Case Study of the Yugok Catchment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4.65
  • 115

최근 증가하는 홍수피해는 높은 불투수면적률과 홍수 대응 정책 미흡 등으로 인해 도시지역에서 취약성이 크게 나타난다. 또한 이에 대응하기 위한 홍수정책은 국가하천 및 대하천 위주로는 수립이 잘되어 있으나 중소하천에서 장마철에 발생하는 홍수 대응에 대해서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형적 특성, 하천 특성 등 지역별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지역마다 자연재해에 대비한 저감 대책이주기적으로 발행되고 있지만 이는 홍수 발생 시 대응 방안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홍수 통합관리 모델을 수립하고, 외수 분석을 위해 집중형 수문 모형과 준분포수문 모형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내수 분석을 위해 SWMM 모형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위해 울산광역시 유곡천 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홍수 피해 이력을 바탕으로 내수 및 외수 홍수분석모형을 구축하여 수리 수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도시홍수 관리모델은 예상 강우량과 외수위를 이용하여 유역의 홍수 대응 결정 방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rban areas with high levels of impervious cover and inadequate flood-mitigation polic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vulnerable to flooding compared to other areas. Despite nationwide efforts to mitigate flood damages, which primarily focus on major rivers, smaller rivers and urban catchments still experience frequent floods. This study utilized a semi-distributed hydrologic model and SWMM to consider the potential backwater effect on inland flooding. Through complementary analysis using observed rainfall and flow data from early October 2016 (Typhoon Chaba),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Yugok Catchment. The results demonstrate the advantages of the semi-distributed model, which can handle spatial-temporal rainfall distribution and infiltration parameters while maintaining relatively faster calculation speed compared to a fully-distributed model.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grating the model with the SWMM can provide sufficient, accurate, and prompt information to enable effective flood crisis management pla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도시홍수 기초조사

Ⅳ. 도시홍수 통합관리 표준모델 구축

Ⅴ. 분석 모형의 검증 및 적용

Ⅵ.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