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2022 in China

  • 12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jpg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2년에 개정된 중국의 국가교육과정 중에서 초⋅중학교의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실과(기술⋅가정) 교육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교육과정 문서 분석을 위하여 문헌 연구(literature research) 방법의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즉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분석 틀(성격, 목표, 내용 체계, 평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중국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변천,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의 전체 구성 및 본문의 부분 각각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통하여 한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중국의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 체계의 위계성, 연결성, 일관성을 중심으로 편제⋅운영되어 있다. 둘째, 중국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목표는 노동(기술)에 관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함양하고, 직업⋅사상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중국의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내용 체계는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을 바탕으로 ‘일상생활노동’, ‘생산노동’, ‘봉사적 노동’으로 구축되어 있다. 넷째, 중국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교수⋅학습 방법은 노동 프로젝트 기반과 노동주(勞動周)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다섯째, 중국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평가는 학습자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노동 과목의 핵심 소양을 중심으로 학년(군)별로 하고 있다.

Objectives The study was analyzing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China in 2022, hoping to get enlightenment from the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in China. Methods The content analysis of literature study method for this study was used. Results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hina,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docum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2022 and various parts of the text. Finally, through the compariso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2022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e enlightenment is drawn. Conclusions First,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is centered on the hierarchy, cohesion and coherence of its nature, goal and content system. Second, the goal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is to cultivat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labor(technology), and it also emphasizes starting from the professional and ideological levels. Thirdly, the content system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is “daily life labor”, “productive labor” and “service labor” based on Marx's labor theory of value. Four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are based on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Lao Dong Zhou” and labor projects. Fifthly, the evaluatio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takes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level of learners, and is carried out in grades (groups) around the core literacy of subje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