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 최서윤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1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3.07
- 237 - 253 (17 pages)
목적 본 연구는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 기반 교육방안은 무엇인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상담사 발달과정의 공통점을 추출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을 도식화한 후, 마지막으로 성찰 기반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직에 대한 이해와 동기, 현장경험 및 실습, 현장 적응의 어려움, 개인의 경험과 전문직업인의 경험이 통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개인적 성찰 능력을 발휘하며 동료 상호작용, 수퍼비전 등의 노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으로 상담 교과의 교수목표와 학습목표 내에 전문직 정체성과 성찰학습 명시하기를 제안하였다. 결론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상담사 역할을 재조명하고 한 사회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로서 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실천적 성찰 기반의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사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교육목표와 학습목표를 명확히 하고 재구성하는데 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Specifical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occur in counseling? Second, what are the reflective practice-based educational approaches to formulating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dentity to identify its components, and extracted commonalities through studies on developmental experienc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was diagrammed, and educational approaches were proposed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Results First, professional identity is formed by integrating understanding and motivation towards the profession, practical experience and train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field,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Secon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dividuals exhibit personal reflective abilities and make efforts such as peer interaction and supervision. Third, as an educational approach to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it is proposed to explicitly state professional identity and reflective learning within the teaching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of counseling cour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and reflectiv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in order to reassess the role of counselors and strengthen their abilities as experts responsible for the mental health of a societ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larifying and restructur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that solidify the identity of counselors.
Ⅰ. 서론
Ⅱ.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Ⅲ.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
Ⅳ. 성찰 기반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