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tudying room as a learning space: Focusing on secondar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 14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온라인 독서실에서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7명을 대상으로 질적 접근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온라인 독서실에서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분석 틀로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생의 온라인 독서실에서의 학습 경험으로 학습 초반의 학습은 학습 시작 단계로 학습에 대한 기대감과 호기심의 개인 요소를 기반으로 COVID-19로 인한 원격 교육 강화와 Z세대 문화의 영향력의 거시체계, 부모와 친구의 반응의 미시체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초반에 학습자는 온라인 독서실에서 자유로운 시간에 학습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중반의 학습은 학습 실행 단계로 학습에 대한 자기 통제와 경쟁의 개인 요소를 기반으로 온라인 독서실 기능과 친구와의 상호작용의 미시체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중반에 학습자는 온라인 독서실에서 지속적으로 학습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후반의 학습은 학습 평가 단계로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성찰의 개인 요소를 기반으로 학교에서 학업 성적 향상과 온라인 독서실에서 학습 효율성 향상의 미시체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후반에 학습자는 온라인 독서실에서 학습 습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은 학습 초반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선택하는 열린 학습 공간, 학습 중반의 첨단 과학기술을 반영한 공유의 학습 공간, 학습 후반의 효과적, 효율적 학습이 가능한 자기주도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중학생 대상의 학교 밖 온라인 학습 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밖 온라인 학습 공간에서 중학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사회 차원의 인적, 물적 자원의 지원 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 밖 온라인 학습 공간에서 중학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tudying room as a learning space focusing on secondar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this study, secondar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online studying room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tudying room as a learning space were derived.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were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seven secondary students. In this study, Ecological Systems Theory was selected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online studying room. Results First, secondar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online studying room were as follows. In the early stage of learning, learning in the online studying room as learning start stage,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xpectations and curiosity for learning, was affected by the macrosystem of the influence of strengthening distance education due to COVID-19, Z culture and the microsystem of the reaction of parents and the reaction of friends. It was found that secondary students started learning in the online studying room in their free time. In the middle stage of learning, learning in the online studying room as learning execution stage,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elf-control and competition for learning, was affected by the microsystem of the interaction of online studying room function and the interaction of friends. It was found that secondary students continued to learn in the online studying room. In the late stage of learning, learning in the onlinestudying room as learning assessment stage,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nfidence and self-reflection in learning, was affected by the microsystem of the improvement of learning grades at school an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fficiency in the online studying room. It was found that secondary students formed learning habits in the online studying room.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tudying room as a learning space are as follows. In the early stage of learning, the online studying room appeared as a open learning space selected by socio-cultural context, in the middle stage of learning, a learning space to share reflecting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 the late stage of learning, a self-learning space wher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is possible. Conclusions First, policy support is needed for revitalization of online learning space outside of school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system of linkage between secondary schools and homes centering on the online learning space outside of school. Thir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econdary school student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space outside of schoo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중학생의 온라인 독서실에서의 학습 경험

Ⅴ.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