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 focus on worker percep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14호
-
2023.07279 - 299 (21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14.279
- 63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개선방안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은 무엇인지 종사자 관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소수의 특수한 상황에서 맥락을 살펴보며 탐구할 수 있는 질적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 탐색의 질적연구를 위해 연구참여자 3명을 대상으로 각 2회씩 총 6회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현재와 개선방안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구분할 수 있었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현재에서는 대상자 관련으로 아동⋅청소년의 변화와 대상 범위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운영 상 어려움에서는 학교 내, 지역 간 협업의 어려움, 인적 자원의 양⋅질적 문제, 예산 관련 문제를 구분할 수 있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철학적 가치 정립 및 자원 연계 기반 맞춤형 성장 지원, 인적 자원 관련 개선(역량 있는 인력 양성, 종사자 의무배치), 정책적 제도 개선(자체 평가제도, 대상 및 서비스 중복 해결의 통합적 운영), 인식개선으로 살펴볼 수 있다. 결론 학교현장에서의 교육복지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의 철학적 가치를 바탕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천이 필요하고, 종사자 역량 강화,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모니터링 체계 마련, 인력 및 재정 확충,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rom the perspective of workers how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s being operated, how to improve it, and what direction to move forward.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that can explore and examine the context of special situations. For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 total of six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participants twice each. Results In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chang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scope of targe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arget. In practical difficulties, difficulties in collaboration between schools or region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roblems of human resources, and budget-related problems were mentioned. The directions for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should be to establish the philosophical value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support for customized growth based on resource-linked, improve human resources (competent employee training, mandatory placement of workers), improve policy systems (self-evaluation system, integrated operation), and improve awareness. Conclusions As a result,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based on the philosophical value of school social welfare, and to strengthen worker capabilities, improve awareness, establish a monitoring system, expand manpower and budget, and continue research o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