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스토리콘텐츠 3집.jpg
학술저널

일본군 ‘위안부’는 ‘영어로’ 말할 수 있는가

Ca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speak in English?: Americanization of the ‘Comfort Women’ issue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I Can Speak”

DOI : 10.56659/kcsc.2023.07.3.77
  • 172

본고는 2007년 미 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HR 121)’이 통과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아이 캔 스피크>를 통해 미국에서 공론화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운동에 대한 국내 대중 영화의 재현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오늘날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여성의 보편적 인권 문제로서 미국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이러한 담론은 태평양전쟁과 전후 처리에 있어 미국의 개입과 (신)식민주의 문제를 누락한다. 즉, ‘보편 가치’란 미국의 국가-지식 권력에 의해 구축된 것이자 동시에 그것을 재생산하는 것으로 자공하고 있다. <아이 캔 스피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미국의 정치 지형을 소거하고 이를 단지 ‘한-일’ 문제로 축소함으로써 미국을 이 문제의 외부에 위치하게 만든다. 더하여 영화의 결말부에서 미국 위인의 동상으로 둘러싸인 의회에서 피해자가 청중의 사과를 받는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미국 의회를 역사적 진실이 승리하는 곳으로 표상한다. 본고는 ‘보편 가치’라는 말이 은폐하는 권력의 작용을 드러냄으로써 미국 의회 역시 서발턴의 말하기를 지배 담론으로 포획하려 하는 장소임을 확인한다. 중요한 점은 이와 같은 한계가 <아이 캔 스피크>만의 것이 아니라, 오늘날 미국에서 공론화되는 ‘위안부’ 문제를 인식하는 우리의 시각과 유사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아이 캔 스피크>에 대한 분석은 미국을 매개로 하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세계화’하고 있는 오늘날 ‘위안부’ 담론과 운동 방향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해 준다.

This article targets the movie “I Can Speak”, which was produced based on the actual case in which the “Resolution o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H. Res. 121)” was passed by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in 2007. Through the analysis of “I Can Speak”,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discourse of ‘Comfort Women’ in the United States. Today, ‘Comfort Women’ issue is raised in the United States as a matter of human rights for universal women, but on the other hand, this discourse omits the issue of American intervention and (neo)colonialism in the Pacific War and post-war processing. At this time, 'universal value' means built by the state-knowledge power of the United States, and at the same time reproduces it. “I Can Speak” puts the U.S. outside the issue by erasing the U.S. political landscape surrounding the ‘Comfort Women’ issue and reducing it to just ‘Korea-Japan’ relations. In “I Can Speak,” the U.S. Congress is represented as a place where historical truth wins, and the victim receives an apology from the audience in a parliament surrounded by a statue of an American great man.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U.S. Congress is also a powerful place to capture Servalton's speech with its ruling discourse by revealing the action of power that the word ‘universal value’ conceals.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se limitations are not only “I Can Speak,” but also our view of recognizing the ‘Comfort Women’ issue being publicized in the United States today. Therefore, the analysis of “I Can Speak” allows us to critically examine the discourse and movement that is ‘globalizing’ the ‘Comfort Women’ problem through the United States.

Ⅰ.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주전장’이 된 미국

Ⅱ. ‘위안부’ 문제 지형의 단순화와 ‘보편’으로서 미국

Ⅲ. 지배 체제의 말하기 장과 서발턴의 전략·타협·종속

Ⅳ. 가해자를 사면하는 ‘보편 윤리’를 넘어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