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스토리콘텐츠 3집.jpg
학술저널

군포시 대야동의 지역문화자원 문화콘텐츠화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 of local cultural resources in Daeya-dong: Gunpo-si - Focusing on <Community Sound Exhibition> and follow-up work

군포시는 1988년 산본신도시가 조성되면서, 빠른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다. 이 과정에서 수리산 인근 대야동 지역만 농촌지역으로 남아 전통마을을 지금까지 유지해 왔다. 신도시 지역은 새로 유입된 사람들로 인해 지역문화자원을 보유했던 원주민들을 대체했고, 이 과정에서 군포시는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적 기반을 상실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2018년 진행한 <공동체소리 전(展)>을 위한 조사사업을 시작으로 군포시의 마지막 농촌지역인 대야동의 지역문화자원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기존의 군포시는 급작스러운 도시화로 인해 지역문화자원을 상실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 2018년 <공동체소리 전(展)>으로 확보한 대야동의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하는데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소리 전(展)>의 지역문화자원을 콘텐츠로 활용한 <정월대보름 행사>, 교육콘텐츠로 지역 시민조사단 육성을 위한 <우리동네 기록학교>, 지역인적자원 시민동아리 육성을 위해 우동군포를 대상으로 교육한 <대감마을 소금길>, 1930~2000년대까지 군포지역 생활문화자원 수집하기 위해 (사)한국사진작가협회 군포지부 주관의 <군포 옛역사 공모전> 등의 후속 작업이 진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수집한 군포시 지역문화자원을 보강·가공·활용하는 단계를 통해 아카이브로 구축하는 과정의 필요한 상황이다. 2023년 코로나 엔데믹 선언 이후 군포시는 문화사업이 재개되고 있으므로, 수집된 군포시 대야동의 지역문화자원을 <대야동 마을 박물관>과 <대야동 보이는 마을>의 형태로 활용·계승하여 군포 지역민들의 지역정체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Gunpo City is an area wher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progre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Sanbon New City in 1988. In this process, only the area of Daya-dong, near Mount Suri, has remained a rural area and has maintained its traditional village until now. The new urban area was replaced by the indigenous people who had local cultural resources due to the new influx, and in the process, Gunpo City lost its cultural base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is paper began with a survey project for the <Community Sound Exhibition> conducted in 2018 and focused on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in Daya-dong, the last rural area of Gunpo City. The existing Gunpo City is an area that has the problem of lo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due to sudden urbanization, and it has a great interest in utilizing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of Daya-dong, which was secured by the <Community Sound Exhibition> in 2018. Therefore, follow-up works such as the <Jeongwoldaeboreum event> which utilized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Sound Exhibition>, the <My Neighborhood History Record School> to foster local citizens survey teams with educational contents, the <Salt Road of Daegam Village> which educated Udon Gunpo to foster local human resource citizens clubs, and the <Gunpo Old History Contest> organized by the Gunpo Branch of the Korea Photographers Association to collect living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Gunpo area until the 1930s ~ 2000s. However,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need for the process of building it into an archive through the steps of reinforcement, processing, and utilizing the collected local cultural resources of Gunpo City. Since cultural projects are resuming in Gunpo City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corona pandemic in 2023, the collected local cultural resources of Daya-dong in Gunpo City will be used as contents in the form of <Daya-dong Village Museum> and <Daya-dong Visible Village>. There is a need to inherit and secure the local identity of the people of Gunpo area.

Ⅰ. 서론

Ⅱ. 군포 지역문화자원 연구조사 방법 (<공동체소리 전(展)>을 중심으로)

Ⅲ. 군포 대야동의 지역문화자원의 분류

Ⅳ. 군포시 지역문화자원의 콘텐츠 활용 사례

Ⅴ. 결론 – 대야동 지역문화자원의 전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