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스토리콘텐츠 3집.jpg
학술저널

역사학의 방법에서 역사문화콘텐츠적 접근으로의 전환

A Transition from Historical Method to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pproach

이 글은 역사문화콘텐츠 영역이 지닌 동시대적 의미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문화콘텐츠를 기존 역사학의 영역 속에서 인식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과거를 다루는 방법으로서 이해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역사학의 방법론이 객관성을 담보하는 것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이때 발생하는 ‘공감’에 대한 문제에 주목했다. 이후 역사문화콘텐츠의 의미를 내용·형식적인 차원, 즉 ‘팩션’과 ‘히스토리텔링’을 통해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 역사문화콘텐츠는 팩션으로서 다양한 과거를 다룰 수 있다. 이는 ‘실재적 사실’과 ‘역사적 사실’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의 과거를 다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히스토리텔링을 통해 ‘역사가와 과거의 일방적인 대화’가 아닌 ‘역사가와 대중’, ‘대중과 대중’, ‘과거와 대중’ 등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소통이 이루어진다. 정리하자면 역사문화콘텐츠는 기존 역사학의 연장선상에서 ‘활용’과 ‘활성화 방안’이라는 측면 이외에도, 과거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한다. 따라서 역사문화콘텐츠를 과학적 역사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을 넘어, 과거를 새롭게 다룰 수 있는 방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과거는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재)가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rea. To this e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a way to deal with various pasts beyond recognizing them in the realm of existing historical studies. Specifically, it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methodology of history is focused on ensuring objectivity, and paid attention to the problem of “sympathy” that occurs at this time. Since then, the meaning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has been examined through content and formal dimensions, that is, 'faction' and 'historytelling'.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historical-cultural contents can deal with various pasts as a fa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deal with the past of the 'gap' that exists between 'real facts' and 'historical facts'. In addition, through historytelling, various communications are made in relationships such as “historian and the public,” “public and the public,” and “past and the public,” rather than “one-sided conversations with historians.” In summary, historical-cultural contents provide various ways to remember the past in addition to the aspects of “utilization” and “activation measures” as an extension of existing historical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a way to deal with the past anew beyond looking a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and historical history. Through this, the past can be (re)processed in more various ways.

Ⅰ. 들어가는 말

Ⅱ. 역사학적 방법의 특징과 양상

Ⅲ. 팩션과 히스토리텔링을 통한 역사문화콘텐츠적 접근

Ⅳ. 역사학의 방법에서 역사문화콘텐츠적 접근으로의 전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