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빌딩 리모델링의 리스크 요인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isk Factors in the Remodeling of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제21권 제2호 (통권 제60호)
-
2023.0689 - 104 (16 pages)
-
DOI : 10.22313/reik.2023.21.2.89
- 이용수 10

초록
In Seoul, old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that are over 25 years old account for more than 60% of the total. So these old buildings need to be remodeled to restore building functions and improve aesthetics. Nevertheless, due to the absence of previous studies on risk factors occurring in remodeling projects, risk management is difficult during remodeling, therefore remodeling is sluggish.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remodeling by developing risk factors for remodeling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and analyzing and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using the AHP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stage' was overwhelmingly important among the four stages of the major classification. Among the 10 attributes of the medium classification, “market analysis” and “asset analysis” ranked first and second. Among the 25 factors of the minor classification, it was analyzed that it is important in the order of 'market survey error', 'MD composition failure', and 'current status map and real mismatch'. As an implication, the most carefully considered risk in the remodeling project is not only a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sale price and rent information of similar buildings, but also a floor-by-floor rental composition(MD) plan optimized for the location of the target building. Because ‘MD composition’ is a plan that can maximize the rent that the target building can generate according to its location. If this plan succeeds, it will lead to an increase in building value as well as an increase in rental incom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both for the building owner and the develop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방법 및 리스크 요인 체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민간개발사업의 공공기여 제고를 위한 사전협상제도 개선방안 연구
- 세대별 가계특성의 판별요인 분석
- 중소형빌딩 리모델링의 리스크 요인 유형화 연구
- 서울 동남권과 경기 남부지역 신도시 아파트 가격변동 특성 비교 연구
- 공공개발사업의 추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관리방식을 고려한 관리인원 결정요인 연구
- 국내상장기업의 부동산보유비율이 기업의 초과성과와 원천별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 A Study on th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Method based on Demand for Proptech Technology using Fuzzy Measurement
- 전통주거건축의 평면형태에 따른 여름철 대청마루의 통풍효과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제21권 제2호 (통권 제60호) 목차
- 지역 커뮤니티를 통한 지역 방재력 향상에 관한 연구
- 구릉지 저밀주거의 재생 활성화방안 연구
- 중소형 오피스 빌딩의 거래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물류 부동산의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아산-천안지역 개발사업 토지이용계획이 인구 및 산업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부의 주택정책이 수도권 아파트 전세의 월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