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부흥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은 고연무, 검모잠, 안승 3명이다. 검모잠은 대동강 남쪽에서 당의 관인을 죽이고 사야도로 이동하였고, 사야도에서 안승을 만나 함께 재령으로 이동하였다. 고구려 부흥운동의 흐름 속에서 검모잠과 안승이 만났던 ‘사야도’는 장소로서 그 의미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사야도의 위치는 단순히 음상사에 따라 인천 덕적군도의 사야도로 비정되었다. 현재의 재령평야는 원래 대부분이 저지대 간석지였고, 해수의 침입을 받는 곳이었다. 조선시대의 지도류를 확인해보면 재령평야가 위치했던 재령강 좌우측이 상당히 확장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팔도분도」를 보면 재령평야가 아니라 ‘제량해’라는 내해가 존재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대동강과 재령강이 만나는 지점에 ‘철도’가 위치하고 있다. 과거에는 대동강과 제량해가 만났던 곳으로 수로 교통의 중심지였다. 철도 바로 옆 대동강 수로는 ‘급수문’이라 불린다. 넓은 내해에서 좁은 대동강 수로로 이어지는 곳이자, 유로 방향이 급격히 동북쪽으로 꺾이는 지점이다. 급수문은 조류 속도가 장산곶에 버금갈 정도로 험난한 곳이었다. 조선시대에는 급수문까지 대동강이라 하였고, 그 이서 지역은 급수문 앞 바다 혹은 철도 앞 바다라고 불렀다. 고대 사회에서 서해라는 인식은 급수문 이서 지역부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한다면 ‘서해 사야도’는 급수문 이서지역인 ‘제량해’ 일대도 포함해서 고민해야 마땅하다. 사야도는 대동강 수로의 흐름, 제량해의 존재, 철도의 교통로상 역할 등을 감안해 비정해야 한다. 철도는 검모잠의 남하과정에서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지점으로, 신라 혹은 재령으로 가기 위한 분기점이다. 검모잠의 남하과정과 고대의 지형조건 등을 감안할 때 사야도는 철도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The thre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revival movement are Go Yeon-mu(高延武), Gum Mo-zam(劍牟岑) and An Seung(安勝). Gum Mo-zam met An Seung on the Saya island(史也島) and moved to the Jaeryeong(載寧) in 670. The Saya island is estimated to be the Soya island(蘇爺島) in Incheon. But this is only the reason why the pronunciation is similar. The place where Gum Mo-zam and An Seung met is around the Jaeryeong Plain(載寧平野) in Hwanghae-do. If you look at the map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sea in Jaeryeong Plain. The name of the sea is Jeryang(濟粱), and there is the Chol island(鐵島) in the center of the Jeryang Sea. The Chol island is located where Daedong River and Jaeryeong River meet. The Chol island was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by the waterways of the Daedong River and Jaeryeong River. The western part of the Chol island was recognized as the sea until the Joseon Dynasty. In ancient times, the western sea(西海) can be said to be from the west of the Chol island. The position of the Chol island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ncient terrain. Looking at the ancient terrain and the process of Gum Mo-zam descending southward, the position of the Saya island is estimated to be the Chol island.
Ⅰ. 머리말
Ⅱ. 재령평야 일대의 지형 변화
Ⅲ. 제량해의 존재와 서해의 범위
Ⅳ. 검모잠의 남하와 사야도의 위치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