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인식 탐색

Exploring Pre-Servi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Earth Science Learning Via Drawing

DOI : 10.14333/KJTE.2023.39.4.01
  • 54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학습에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A 교육대학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92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중인 42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총 134명 예비교사들이 본 연구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 결과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정의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지식 습득의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좋은' 및 '나쁜' 수업에 대한 인식 결과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의 유무가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해석할 수 있었다 지구과학에 대한 과거 경험에서 초등 예비교사는 교실 환경에서 지식 습득 경험에 대한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천문관측에 대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미래 지구과학을 지도하는 모습에서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교과내용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비대면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등)에 대해 암묵적인 이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지구과학학습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보여줄 수 있는 지표이자 향후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국제비교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써학술적인 가치가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pre-serviceteachers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Earth Science learning. Methods: A total of 134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survey, including 92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rom A Education University, 42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B University. and C University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Among the participants, 12pre-service teachers, including thre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nine secondary pre-serviceteachers, agreed to additional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meetings. Result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a tendency among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teachers to emphasize the aspect of knowledge acquisition when defining earth science learning. Theperception of “good” and “bad” classes c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fluenced by the presence orabsenc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past experiences with Earth Science,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highest frequency of experiences related to knowledgeacquisition in classroom settings, whil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highest frequencyof experience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s. In terms of envisioning future Earth Scienceinstructio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implicit understanding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cluding knowledge of th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knowledge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indicator of the perceptions heldby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Earth Science learning, serving asfundamental data with academic value that can be utilized in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on Earth Scien ce education.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