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단위 학교의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연구목적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검인정 국어 교과서의 사용을 위해 단위학교국어 교사들이 국어 교과서를 평가하고 선정하는 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국어 교과서의 평가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선정 과정에서 도출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고교학점제를 대비하여 고등학교 선택 과목의 유형과 수를 개정 2015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더욱 확장된 바를 고려할 때 향후 단위학교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에 관한 부담은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고려할 때, 검인정 교과서 체제에서 단위학교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과정의 어려움을 탐색하고 선제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단위 학교에서 국어 교과서의 평가와선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국어 교사 9명을 대상으로 하여 FGI(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Krueger와 Casey(2009)의 FGI 질문 구성과 자료 분석의 절차를 통해 검인정 국어교과서의 단위 학교의 선정 실태,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1) 검인정 국어 교과서 선정과 평가 과정에서 국어 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고부담에따라 '전체 교과서 평가 방식'을 주로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적정한 제재', '적정 학습량',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과 보조 자료 유무'와 더불어 '저자와 출판사' 등으로 도출되었다. 3) 검인정 국어 교과서 선정과 평가의 주도적인 문제점으로는 평가대상 교과서 종수의 과다에 따른 '과도한 분량과 이에 따른 부족한 평가 시간'의 문제와 '복잡하고 추상적인 교과서 평가 기준'이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 시간 확보와 절차 간소화, 각 출판사별 객관적 교과서정보 제공 및 활용' 등의 방안 등이 도출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is to find problems derived from the elements and selection process and waysto improve them. Considering that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further expandedthe type and number of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in preparation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9 Koreanlanguag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in unit schools based on the revise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sults: 1) Korean language teachers mainly adopted the “overall textbook evaluation approach” dueto the high burden of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evalua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2) Variables influencing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ed “appropriate sanctions”, “adequate amount of learning conten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and availability of supplementary materials”, as well as “authors and publishers”. 3) The primaryproblems identified i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verificationand approval system were the excessive amount of textbooks to be evaluated, resulting in “excessivecontent and insufficient evaluation time”, and the emergence of “complex and abstract textbookevaluation criteria”. Conclusion: Proposed solu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include “securing evaluation time andsimplifying procedures” and “providing and utilizing objective textbook information for each publisher”.

Ⅰ. 들어가는 말

Ⅱ. 단위 학교 국어 교과서 선정 방안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