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05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학계의 한국독립운동사 연구 경향과 성과(1992~2021)

Trends and Achievement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a(1992~2021)

DOI : 10.29004/jkmch.2023.06.105.7
  • 106

한중 수교 이전부터 중국 학계는 한국독립운동사 연구를 시작했지만, 의병운동, 3·1운동 등 초기 항일 활동에 치중했다. 1980년대 초반에 이르러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이 추진되면서 중국조선사학회의 영향으로 중국 대륙 학자들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정부와 학계의 협조로 연변대학교·길림성사회과학원·복단대학교·북경대학교 등 여러 연구 중심이 형성되었고 ≪당대한국≫ , ≪한국연구논총≫ 등 여러 학술지가 잇따라 출간되었다. 한국독립운동사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남석(石源华) 북영(杨绍全)’이 대표적인 연구자가 되었다. 중국 학계의 관심은 3·1운동, 동북 지역 한인무장투쟁,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내 지역 한인무장, 한국독립운동과 중국공산당 그리고 한인교포, 선전활동, 한·중 상호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 학계의 거시적 배경 파악은 비교적 정확하지만, 한국 국내 역사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 최근 중국에서의 독립운동사 학술 교류, 저서 수 등은 학자들의 세대교체, 한·중 관계의 파동 등으로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학계는 중국 중서부 지역의 학술자원 개발과 활용을 중시하고 지원하며 양측의 학술 교류와 인재 양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China and ROK, Chinese academic circles had begun to study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ut lay particular emphasis on the early anti-Japanese independence activities such as the “Conscript Movement” and the “March 1st Movement”. In the early 1980s, with the advance of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scholars in mainland China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Society of Korean History.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China and ROK in 1992, with the help of the governments and academic circles, several research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such as Yanbian University ,Jilin Academy of Social Sciences, Fudan University, Peking University,etc. Several publications, such as Contemporary Korea and Chinese Journal of Korean Studies, have been published successively, and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as shown a vigorous development trend. Chinese academic circles focus on the March 1st Movemen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Korean armed forces in China,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CPC, as well as the Korean diaspora, propaganda activities,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hina and ROK.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a relatively accurate grasp of the macro background, but lack of attention to the domestic history of ROK. In recent years, due to the fluctuation of Sino-ROK relations, the academic exchanges and the number of works o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ROK appear signs of relative decline. The academic circle should attach importance to and support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cademic resources in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of China, and actively promote the academic exchange and talent reserve between the two sides.

1. 머리말

2. 시기별 연구 경향

3. 주제별 연구 성과

4. 연구의 한계

5. 맺음말: 연구 과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