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05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분단 전후(1945~1953) 위령제의 재편과 위령 의례의 변화

Reorganization of the memorial ceremony and changes in ceremonies before and after the division (1945~1953)

DOI : 10.29004/jkmch.2023.06.105.193
  • 59

분단 전후 8년은 해방과 분단, 전쟁이라는 격변의 시대로서 새로운 시대와 집단의 구성원을 만들어내기 위한 문화적 기획을 필수적으로 요청했다. 이 시기위령은 죽음에 대한 의미 부여와 죽음의 위계화를 통해 집단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내부 구성원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기획이었다. 이를 위해 해방 직후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다양한 민족의 죽음에 대한 위령이 거행되었다. 좌·우익은 각자 위령의 대상을 선별하여 위령제를 거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하지만 해방공간의 정치지형이 변화함에 따라 위령제도 재편되기 시작했다. 분단을 거치면서 다수의 위령제는 공적 공간에서 망각되었다. 다만, 순직 군·경에 대한 위령제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었다. 여순사건, 38선에서의 전투 등을 거치면서 전몰군인에 대한 위령제는 그 위상이 강화되는 한편, 위령의 시행 규모도 확대되었다. 전쟁을 거치면서 삼군합동위령제는 처음으로 날짜가 정례화되기 시작했다. 더하여 위령제 당일 음주가무 금지, 묵념과 자숙자계 등의 국민 행동지침을 통해 대한민국은 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하지만, 유가족 원호 문제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위령에 대한 국가와 국민의 간극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군합동위령제는 국가 주도 아래 전국적인 규모로 정례화되어 갔으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위령제로 자리하게 되었다.

The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division were the turbulent times of liberation, division, and war. This period required cultural planning to create members of a new era and group. During this period, the memorial was a major plan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group and form the identity of internal members through the meaning of death and the hierarchy of death. To this end, a memorial ceremony was held for the death of various ethnic group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each selected the object of the memorial ceremony and held a memorial ceremony to secure public support. However, as the political landscape of the liberation space changed, the memorial system began to be reorganized. Throughout the division, many memorial systems were forgotten in public space.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memorial ceremony for the soldiers and police who died was further emphasized. Through the Yeosu-Suncheon Incident and the battle on the 38th parallel, the status of the memorial ceremony for war dead was strengthened, while the sca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emorial ceremony was expanded. Throughout the war, the date of the three-gun joint memorial ceremony began to be regularized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on the day of the memorial service, the Republic of Korea requeste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eople through public action guidelines such as prohibition of drinking and dancing, silence, and self-reflection.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issue of the support of bereaved families, the gap between the state and the people regarding the decree still existed. Nevertheless, the three-gun joint memorial system was regularized on a nationwide scal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state, and became a representative memorial ceremony in Korea.

1. 머리말

2. 해방 직후 위령제의 시행과 좌·우익의 경쟁

3. 군·경 합동위령제와 국가 주도의 위령 의례

4. 한국전쟁과 국가 위령의 정례화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