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사고경향, 상징적 소비성향, 패션 관여도가 온라인 패션쇼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inking Tendency, Symbolic Consumption, Fashion Involvement on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Online Fashion Shows: Focused on the Louis Vuitton

  • 89
문화와 융합 제45권 7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럭셔리 브랜드의 제품을 온라인 패션쇼에서 선보일 때 서로 다른 문화와 사회적 배경을 가진 시청자의 사고경향, 상징적 소비성향과 패션 관여도가 루이비통의 온라인 패션쇼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가 목적이다. SPSS 23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서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성별과 월 소득은 온라인 패션쇼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고경향은 온라인 패션쇼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징적 소비성향은 온라인 패션쇼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패션 관여도는 온라인 패션쇼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패션쇼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viewers from different cultures and social backgrounds, symbolic consumption tendencies, and fashion involvement affect Louis Vuitton's attitude toward online fashion shows and purchase intentions It was verified through the SPSS 23, and showed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ender and monthly income was feeling positive influence on online fashion show. Second, the trend of accidents showed that there are influence on online fash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on online fashion. Third, symbolic consumption orientation showed that the intention of purchasing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 to purchase online fashion. Fourth, fashion particip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online fashion and purchase intention to purchase. Finally, the attitude toward online fashion show showed positive impact on purchasing intentio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연구가설 검증

6. 결론 및 한계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