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 탐구활동에 나타난 과학과 교과 역량 분석
Analysis of Science Subject Competencies in Inquiry Activities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Science Inquiry in History’ Unit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현장수업연구
- 제4권 제2호
-
2023.0735 - 57 (23 pages)
-
DOI : 10.22768/JFLS.2023.4.2.35
- 136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역사 속의 과학 탐구’ 단원 탐구 활동에 제시된 과학과 교과 역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 활동에 제시된 과학과 교과 역량은 특정 역량으로 편중되어 있었으며, ‘과학적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은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영역 모두 거의 제시되지 않거나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교과서 저자의 의도나 탐구 활동에 제시된 문장 표현은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교과 역량과 다른 경우가 있었다. 또한 탐구 활동의 주제에 따라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교과 역량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고려할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science subject competencies in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Inquiry in History’ unit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ience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inquiry activities were biased on specific competencies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 life-long learning’ were rarely or never presented in Physics, Chemistry, Earth science, and Life science. In addition, the textbook author’s intention or the sentence expression presente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textbook were different from the subject competencies that students could actually experience. Also,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ubject competency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inquiry activity. Through this analysis, we made some suggestions to consider in the textbook writing proces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