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9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 한부모가족 당사자 간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Participation Experience in Mentoring Program among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DOI : 10.37342/swpp.2023.9.2.129
  • 164

본 연구는 여성 한부모가족 당사자 간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여성한부모가족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었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여성 한부모가족 당사자 간 멘토링 프로그램은 2021년 A기관에서 진행하였으며, 여성 한부모가족들은 자녀들과 함께 가족단위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당사자 간 멘토링 프로그램은 202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전면접, 대인관계교육, 멘토단 회의, 팀별 활동(총 6회 3시간씩), 집단상담 등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종료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10명의 여성 한부모를 대상으로 참여자별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주제분석 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개의 상위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의 상위주제는 ‘서로에게 의미 있는 만남의시작’, ‘여성 한부모 당사자 간 정서적 유대감’, ‘한부모 어머니로서의 자기이해와 성장을 위한 노력’, ‘사회적 관계에 위축된 여성 한부모, 다시 시작된관계’, ‘우리 아이의 사회성, 또래 관계 발달’로 나타났다. 각 상위주제는 3∼ 4개의 하위주제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여성 한부모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과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what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experien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Mentoring Program among Single-parent Families’. The mentoring program was conducted by Welfare Institute A in 2021 and participated as a family unit with their children. The mentor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8 months from April to November 2021, and included pre-interviews, mentor group meetings, and team-specific mentoring activities(6 times, 3 hours each). After the mentoring program was complet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female single par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pproached by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epth interviews, the 5 upper-topic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The 5 upper-topics derived from the interview are as follows: ‘the start of a meaningful meeting’, ‘emotional connectedness between female single parents’, ‘self-understanding and efforts for growth as a single parent mother’, ‘female single parents who have been shrunk social relationships, restarted relationships’, ‘development of my child’s social skills and peer relationships’. Each upper-topics was sbudivided into 3∼4 sub-top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support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