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합유럽연구 제14권 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EU의 국제문화관계 전략에 관한 고찰

Some Considerations of the EU’s International Cultural Strategy

DOI : 10.32625/KJEI.2023.30.275
  • 98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계기로 문화정책이 도입된 지 30년이 지났 다. EU의 다년예산안 스케줄에 따라 편성되던 문화정책은 시기에 따라 명칭이 바뀌기도 하고 정책적으로 역점을 두는 분야들이 달 라지기도 하였다. 초기의 문화정책은 지원 영역별로 독립적인 프로 그램을 운영하여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담은 문화유산을 보존하거 나 공연 및 행위예술, 또는 문학작품 번역을 지원하는 등 개별적인 문화 및 예술활동을 지원하였고, 이는 2000년부터 운영의 효율성에 초점을 둔 정책적 방침에 따라 통합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기 시작 했다. 그러다가 2014년부터는 문화정책이 역점을 두는 핵심 분야가 문화 및 창조분야로 전환되고 있다. ‘창조적 유럽’ 구축을 목표로 하여 도입된 Creative Europe 프로그램은 그동안 문화정책과 별개로 실행되어 오던 시청각정책을 편입시켜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의 문화 및 창조산업 육성을 목표로 삼았다. 또한 EU는 대외관계에서 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공표하면서 ‘국제문 화관계’를 공식화하기에 이르렀다. EU는 Creative Europe 프로그램 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구축을 진행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유럽적 문화공간(European Spaces of Culture)’을 전세계에 구축하여 글로벌 행위자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It has been more than 30 years since the Treaty of Maastricht officially introduced cultural policy in 1992. Cultural policy has been re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EU’s Multi-annual Financial Framework. Sometimes the policy had to change its official programmes and its policy orientation had to change as well, accordingly. Cultural policy in earlier times implemented various cultural programmes in which different foci were given in providing financial support. DIfferent programmes supported either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performing art or literary translation depending on their respective objectives of the programmes. From the year 2000 onwards, however, the existing programmes were converged into a single programme as the EU emphasised the effectiveness of operating different programmes in a single instrument. From 2014, the focal point of the cultural policy is cultural and creative sectors. The ‘Creative Europe’ programme the EU introduced for the sake of establishing creative Europe, integrated audiovisual policy (which had existed separately from cultural policy) into the programme aiming at strengthening cultural and creative sectors in the digital era. In addition, the EU proclaimed that it will actively make use of culture in its external relations in its communication on ‘International Cultural Relations’. While expanding various types of ‘networks’ through Creative Europe at a global level, the EU makes attempt to establish ‘European Spaces of Culture’ worldwide in the end. By doing so, the EU pursues enhancing its position as a global actor in this field.

Ⅰ. 서론

Ⅱ. EU 문화정책의 전개

Ⅲ. EU 문화정책의 새로운 정책적 방향성: 국제문화관계

Ⅳ. EU 국제문화관계 전략의 대표사례: 유닉(EUNIC)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