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기 중요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종단분석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11 No.1
-
2023.0733 - 48 (16 pages)
-
DOI : 10.22961/JHCLS.2023.11.1.033
- 354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0차와 13차 그리고 16차 아동부가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까지 사회적 관계와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 간 인과관계 변화를 확인하였다. 아동기인 초등학교와 청소년기인 중학교 및 고등학교 시기는 가정의 부모, 학교 교사 그리고 친구와의 관계가 매우 예민하게 변화하는 시기에 학령기인 아동청소년기 주요 발달과업인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 어떤 인과관계 맥락을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중요타인인 부모, 교사, 친구 관계가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의 학교급 및 성별 집단에 따라 비교적 차이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기․청소년기 사회적 관계가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건강한 아동․청소년기 건강한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10th, 13th, and 16th child supplementary surveys of the Korea Welfare Panel to confirm the causal changes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 which is childhood, and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hich is adolescence, are when relationships with parents, school teachers, and friends at home change very sensitively. is to check wheth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who are important other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shows relatively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each school level and gend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firm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aptation, and furthermore,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information to help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