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Information-Privacy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of Customer: Focusing on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7권 제4호
- 2023.07
- 105 - 116 (12 pages)
소비자의 개인정보 활용과 프라이버시 보호 간 조화가 강조됨에 따라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염려의 결과에 대한 많은 학술적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주체인 소비자 관점에서 여러 개인적 요인이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정보프라이버시 관련 지식 수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도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PCO 모델과 보호동기이론을 바탕으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성별, 연령,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법지식, 학력, 소득 등 개인적 요인에 따른 정보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의 차이와 정보프라이버시 보호행동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염려 수준과 보호행동 사이에서 조절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보프라이버시 염려는 여성과 법지식이 높은 사람이 높고,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은 저연령, 높은 법지식, 고학력, 고소득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법지식이 염려 수준과 보호 행동의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분석 결과는 소비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개인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인적 요인들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의 미치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이해하고 기존 이론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With the emphasis on balancing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privacy protection, there has been a lot of academic discussion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ivacy concerns and the consequences of those concerns.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that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individual factors of customer on privacy concerns and behavio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who are the subjects of person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role of privacy knowledge level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ve behavior based on the APCO model and the theory of motivation to protect. To this end, we examined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according to person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legal knowledge of privacy laws, education, and income, and test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higher among women and those with high legal knowledge,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were higher among those with low age, high legal knowledge, high education, and high income. We also found that legal knowledge had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In other words,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privacy-protective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existing findings on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on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ve behaviors and extends existing theories.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모델 및 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