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자립 지원방안의 하나로 코칭을 통한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선행조건을 발굴하고, 실제로 그들의 자립 지원 현장에 도입할 수 있는 ‘융합 코칭 시스템’(3C1T)구축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부 선행 연구와 연구자의 현장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자립준비청년 지원사업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코칭 모델’ 과 그것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차원의 틀(frame)을 제안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준비청년이 당면한 현실과 자립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및 코칭의 다양한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자립준비청년 지원사업(또는 프로젝트)에 코칭을 도입하는 것은 시의적절하고 유효한 방안이다. 둘째, 자립준비청년의 자립과 성장 지원을 위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코칭 모델은‘i-G·R·O·W 코칭 모델™’이다. 셋째, 이 코칭 모델이 자립준비청년 지원 현장에 도입, 안착하기 위한 선행조건은 참가자의 자발성 촉진과 독립성 함양, 지속적인 사후 관리와 관계성 발달 지원, 전문코치 역할의 중요성 인식, 그리고 무료 코칭의 한계를 보완할 사전 대책 마련 등이다. 본 연구는 코칭 영역에서 자립준비청년에 관한 국내외 선행 연구가 전혀 없는 현실에서 그들의 심리적·정서적 지원 및 사회적 지지 체계를 마련하는 방안의 하나로 코칭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 일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이바지했다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해당 코칭 모델을 자립준비청년의 실제 지원 현장에 적용한 후 발생한 효과 검증을 향후 연구과제로 미루었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라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requisites for establishing a coaching-based support system as one of the self-reliance support strategies for self-reliant youth. It proposes a ‘Convergent Coaching System' (3C1T)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upport for self-reliant youth by drawing on relevant prior research and the researcher's practical coaching experience. In doing so, it suggests a ‘Caching model’ applicable to programs supporting self-reliant youth and outlines the necessary framework at the system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challenges that self-reliant youth face in their current reality and during their process of self-reliance, along with the various effects of coaching, introducing coaching into the support programs (or projects) for self-reliant youth is a timely and effective approach. Secondly, the coach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to support the self-reliance and growth of self-reliant youth is the 'i-G·R·O·W coaching model'. Thirdly, the prerequisites for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this coaching model in the field of supporting self-reliant youth include fostering participants' autonomy and independence, providing continuous post-program support and relationship developme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rofessional coaches, and developing pre-emptive measure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free coach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existing coaching research by addressing the absence of prior research on self-reliant youth in the coaching domai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 explore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coaching as a means to establish a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m. Additionally, it presents some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filling a gap in the existing coaching literature in this area.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researcher's perspective is subjective sinc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that occurred after applying the coaching model in the actual support field for self-reliant youth has been deferred as a future research task.
Ⅰ. 서론
Ⅱ. 자립준비청년의 현황과 지원 정책
Ⅲ. 자립준비청년 지원을 위한 적극적인 코칭 활용 방안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