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래시간조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청년세대와 노년세대 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Self-Esteem among Korean Young and Older Adults: Does Age Matter?

DOI : 10.31888/JKGS.2023.43.4.507
  • 165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청년 및 노년세대를 대상으로 미래시간조망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이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에서 29세 사이의 청년세대 157명과 만 60세 이상의 노년세대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미래시간 조망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신체 건강, 정신건강 관련 변인들을 공변인으로 투입한 뒤 위계적 방법을 이용한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미래시간조망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집단에 따른 조건부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본 결과 청년세대와 노년세대 모두 미래시간조망과 자아존중감은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년세대에서 두 변인 사이의 정적 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청년 및 노년세대 에서 모두 확장된 미래시간조망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심리적 개입 방안으로써 미래시간조망의 역할을 조명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self-esteem among Korean young and older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young adults aged from 20 to 29 (n=157) and older adults aged 60 or older (n=15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the results showed that age grou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esteem. The test of a conditional effect of age group demonstrated that young and older adults who reported higher levels of future time perspective tended to have higher self-esteem. Our findings suggest that adopting an open-ended future time perspective could positively impact the self-esteem of both young an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In addi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shed light on the role of future time perspective a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enhance self-esteem among young an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