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배터리 모듈 접합 기술 리뷰
Battery Module Bonding Technology for Electric Vehicles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 제30권 제2호
- 2023.06
- 33 - 42 (10 pages)
전기자동차 산업은 전 세계적 환경규제 정책과 더불어 각 국 정부의 지원이 맞물려 성장이 가속화 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은 다수의 배터리 셀 및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배터리 팩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배터리 셀 및 모듈을 접합하는 기술은성능, 용량 및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기계적, 전기적 특성 등 여러 기준들을 고려하여 견고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각각의 접합 기술은 서로 다른 장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배터리 셀에 적용할 때에는 몇 가지 기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배터리 셀 형태에 따른 접합기술의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 저항 용접 및 레이저, 초음파 등 대표적 접합기술에 대한 특징과 장단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out all industries, eco-friendliness is being promoted worldwide with focus on suppr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With recent international environ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supported by government, the electric vehicles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Battery system itself perform an essential role in EVs technology that is arranged in cells, modules, and packs, and each of them are connected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A multifaceted approach is necessary for battery pack bonding technologies. In this paper, pros and cons of applicable bonding technologies, such as resistance welding, laser and ultrasonic bonding used in constructing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s were compared. Each bonding technique has different advantages and limitations. Therefore, several criteria must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ich bonding technology is suitable for a battery cell. In particular, the shape and production scale of battery cells are seen as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a bonding method. While dealing with the types and components of battery cells, package bonding technologies and general issues, we will review suitable bonding technologie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1. 서론
2.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 및 조립 기술
3. 배터리 모듈 접합 기술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