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4.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영향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Entrepreneurship: The Effect of COVID-19

DOI : 10.37727/jkdas.2023.25.4.1377
  • 39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GEM)의 2002~2022년 국가별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영향의 코로나19 전후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가적태도 지표로는 ‘창업 기회 인지’, ‘창업 역량 보유’, ‘실패에 대한 두려움’, ‘창업 의도’가 사용되었고, 국가를 1인당 GDP에 따라 세 개의 소득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고정효과 패널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가의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창업 의도를 가진 성인이 더 적극적으로 창업활동에 참여하였다. 1인당 GDP 4만달러 이상의 고소득 국가에서는 코로나19 발생이후 창업 역량을 보유한 성인의 창업활동 참여 가능성이 높아졌다. 1인당 GDP 2~4만달러의 중소득 국가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창업 기회를 창업활동으로 연결한 성인의 비중이 증가하였다.한편 고소득과 중소득 국가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창업 실패의 두려움으로 창업 꺼리지만 어쩔수 없이 창업에 내몰리는 성인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코로나19 전후로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를 보였지만, 코로나19의 영향은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라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창업 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코로나19가 기업가적 태도의 창업 효과에 미치는 국가별 이질적 효과가 반영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in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attitude on entrepreneurship using the 2002-2022 national survey data of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EM). Entrepreneurial attitude indicators include ‘perceived opportunities rate’, ‘perceived capabilities rate’, ‘fear of failur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rate’, and count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income groups according to GDP per capi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analysis, regardless of the country's income level, adult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high-income countries with a GDP per capita of $40,000 or more, the possibility of adults with entrepreneurial skills becoming more involved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creased after COVID-19. In middle-income countries with GDP per capita of $20,000 to $40,000, the share of adults who connect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o entrepreneurship has increased since COVID-19. Meanwhile, in high-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are reluctant to start a business due to fear of failure, but are forced to start a business, has increased after Corona 19. After all,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attitude on entrepreneurship has changed since COVID-19, but the effect of COVID-19 varies with the country's incom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trepreneurship policies, the heterogeneous effects of COVID-19 by country should be reflected.

1. 서론

2. 기업가적 행동과 태도: GEM의 APS를 중심으로

3. 실증분석

4.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