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재난관리 상황에서 일반 국민에게 재난정보를 제공했던 재난문자에 대한 사용자들의 기대요인과 실제 사용자 만족도와의 차이 관계를 파악하여 재난문자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 및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수집된 수신자들의 재난정보에 대한 기대요인을 추출한 후, 패널을 구성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결과는 SPSS를 통해 통계적 차이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재난문자에 대한기대요인은 요인분석을 통해 3가지 속성 ①재난문자의 정보성(신속한 제공, 구체적 정보, 정확한 정보 제공) ②재난문자의신뢰성(일관성, 지속성) ③재난문자의 대응성(공동체 유지,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 주변과의 공감)으로 확인되었다. 기대치와실제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기대치가 실제 만족감보다 높았으며 특히 정보의 구체성, 신뢰성, 일관성 등에서 차이가 큰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가 높을수록, 가족 수가 많고 이용하는 미디어가 많을수록 재난문자에 대한 긍정 평가가 높았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Gratifications Sought (GS) for disaster text messages and the actual Gratifications Obtained (GO) from such messages delivering disaster 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aimed to derive insight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text messages. A survey approach was adopted, which derived GS for disaster inform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ig data analysis. Following this, a panel was formed to conduct a survey. The survey revealed three key attributes of GS for disaster messages through factor analysis: ① informativeness (prompt, specific, and accurate information), ② reliability (consistency, continuity), and ③ responsiveness (community maintenance, caring, understanding, and empathy). The comparison between GS and GO showed that GS was higher than GO, particularly in terms of information specificity, reliability, and consistency. Furthermore, a positive correlation emerged between age, family size, and media usage and the favorable evaluation of disaster text messages.
1. 서론
2. 재난문자의 운영
3. 연구문제 및 분석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