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재활복지 제27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OI : 10.16884/JRR.2023.27.2.107
  • 263

이 연구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장애인평생학습도시 사업을 통해 운영된 장애인평생교 육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장애인평생학습도시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국립특수교육원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에서 발간한 장애인평생학습도시 운영사례 결과보고서의 총 167개 프로그램을 사례보고서에서 제시한 4개 기준, 즉 사회통합, 자립 및 취업연계, 지역특화 프로그램, 네트워크 구축 등의 기준에 맞추어 분류하였다. 이를 다시 장애인평생교육 프로그램 6개 영역에 맞추어 재 분류하여 3년간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4개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에서는 초기에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고 일부 ’자립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지역중심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사 업목적에 부합하는 ’지역특화프로그램‘은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후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인평생교육 6개영역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현황은 3개년 모두 대부분 문화 예술교육과 인문교양교육에 집중되어 있었고 직업능력향상교육의 경우 초기에 비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인기 장애인의 사회적응을 위한 장애인교육의 사각지대 해소를 목 적으로 시작된 장애인평생학습도시사업이 해를 거듭할수록 점차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 그램 개발로 장애인의 참여기회를 확장하는 사업이 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심층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장애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되기 보다 여전히 기존에 진행해왔던 프로그램 운영의 답습이거나 일부영역의 집중 또는 발달장애인 위주의 프로그램 운영은 제고해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was operated through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roject for three years from 2020 to 2022. To this purpose, a total of 167 progra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criteria presented in the case report. This was reclassified into six area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irst,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was initially dominated, and some “self-reliance and employment-linked programs” were operated. The “regional specialization program” that meets the purpose of the project for the region-centered lifelong learning c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id not appear in the beginning, but it was found that it gradually increased afterwards. Second, the operation status of programs in six areas were mostly focused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humanities education for all three years. In conclusion,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was launched to resolve blind spots in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ncouraging.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ing cultural arts education and humanities liberal arts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