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 김형진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3.08
- 11 - 20 (10 pages)
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심리적 행복감에는 요인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WINDOWS SPSS 18.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을 구상 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프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의 심리적 행복감의 증진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류의 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나아가 다각적인 심리지원프로그램의 모색과 적용을 통해 긍정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젼략을 수렴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for active senior golf participan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ng modeling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data by using Windows SPSS 18.0 and AMOS 21.0.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compet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communication compet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Four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golf, it is judg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various exchange venue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furthermore, through the search and application of various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positive cognition can be achieved. Appropriat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converged.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