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심판판정 인식 차이

이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심판판정 인식 차이를 확인하는 목적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은 대학 및 실업 태권도 선수들 3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태권도 심판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총 3개의 요인 공정성, 신속성, 신뢰성으로 구분하여 총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별, 경기력 수준, 운동경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문항반응이론인 Rasch모형을 적용하여 요인별 난이도와 난이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난이도 산출을 위해 Winsteps 3.6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이때 문항에 대한 적합도는 내적합도와 외적합도 지수, 점이연 측정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문항에 대한 신뢰도 확인을 위해 신뢰도 지수와 분리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 경기력 수준에 따라 심판판정 신속성 인식에서는 ‘심판판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문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 경기력 수준에 따라 심판판정 일관성인식에서는 ‘참가한 경기마다 동일한 판정기준에 따라 심판을 본다’, ‘경기 시 심판판정은 선수들에게 신뢰감을 준다’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feree judg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aekwondo athletes. For this study, 300 university and amateur taekwondo athlete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Survey tool consisted of a total of 16 questions divided into three factors, fairness, promptness, and reliability,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aekwondo referees.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e Rasch model, which is an item response theory, was applied to verify the level of difficulty and difference in level of difficulty by factor. The Winsteps 3.65.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difficulty. In addition, reliability index and separability index were calcula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05,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fairness of referee judg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players'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question of 'the referee's judgment is generally made quickly' in the recognition of the promptness of the referee's judg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thletes’ performance.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