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레저상품 예약에 대한 AI 챗봇 수용의도

본 연구에서는 레저 참여자들이 레저 상품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으로 AI 챗봇 수용의도를 분석하였다. 레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총 230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AMOS를 통해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만족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수용의도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만족은 수용의도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AI 챗봇을 통한 예약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만족, 수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AI 챗봇을 통한 예약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 챗봇을 통한 예약이 사람을 대신하여 지속 가능하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제시되었다.

In this study, the intention to accept AI chatbot was analyzed as a method for leisure participants to reserve leisure products.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leisure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WIN/AMO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ourth,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Fifth,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Sixth,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reservations through AI chatbot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acceptance intention. In particular, reservations through AI chatbots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and it was theoretically suggested that reservations through AI chatbots could be sustainable on behalf of human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