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가교육의 변화와 교육적 실천

본 연구는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여가 교육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여가교육모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여가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 등을 이용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변화는 4가지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성적 관점에서 여가교육의 축소, 목표적 관점에서 포용성, 주도성, 창의성 강조, 내용적 관점에서 교육내용으로서의 여가 활동 영역 변화, 이해, 실천, 성찰의 여가 실천성 지향, 그리고 방법적 관점에서 통합적 체험을 통한 총체적 접근의 변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미래지향적 시도가 있다. 둘째,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여가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모형으로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교육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창의성과 포용성의 추구, 이해, 실천, 성찰의 전 과정 포함, 자기주도적인 능동적 학습의 지향 측면에서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결론적으로 이상적인 여가교육을 실현을 위해 예비체육교사 교육에서 여가교육의 실천, 현장교사를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in leis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explore an educational model. To this end,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Korea and thesis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eisu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anges in leis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ppear in four dimensions: systematic, objective, content, and methodological. Second, a Teaching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T.P.S.R.) is presented as a practical model to realize leis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PSR is closely related to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pursuit of creativity and inclusiveness’, ‘including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practice, and reflection’, and ‘direction of self-directed active learning’. In conclusion, 'practice of leisure education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field teachers' are suggested.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