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니세이어파 명사의 격체계 특성
Analysis on the Case Category of Yeniseian Languages: Focusing on Ket Language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러시아학
- 제27호
-
2023.081 - 30 (30 pages)
-
DOI : 10.24958/rh.2023.27.1
- 12

본 연구의 대상은 예니세이어파의 현존하는 유일한 언어인 케트어의 격체계이다. 케트어의 각각의 격표지와 용법을 살펴본 후 격분류에 있어 중요한 잣대가 되는 단수/복수, 남성/비남성, 유정성/무정성 이항대립 구조를 분석하였다. 케트어 명사는 먼저, 단수와 복수에 따라 분류되고, 단수에서는 남성/비남성, 복수에서는 유정성/무정성 범주로 구분된다. 또한 남성, 여성과 중성의 세 가지 성범주가 있는데 케트어에서 성 속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주격이 아닌 생격이며 성범주는 생격과 생격 기반 사격에서만 유표적 기능을 담당한다. 분석 결과, 남성/비남성, 유정성/무정성의 구분이 있으며 각각 다른 격표지를 갖는 생격과 생격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여격, 탈격, 수혜격과 근접격이 완전한 의미의 격변화를 하는 그룹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수/복수, 남성/비남성, 유정성/무정성의 구분이 전혀 없는 처소격, 도구격, 노격과 결격 표지는 성과 수에 따른 격변화를 하지는 않기에 격접사 또는 후치사의 성격이 강하다. 또한 호격의 경우 단수에서는 남성/여성의 대립구조, 복수에서는 대립구조가 사라지기에 다른 격의 기준과는 상이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렇듯 케트어 격체계는 격의 대립 구조, 격 위계와 후치사와의 상관관계로 인해 러시아어에서 나타나는 명확한 특징을 갖고 있지 않으며 독특한 교착어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이는 케트어의 격이 학자들의 주장과 견해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적으로 뒷받침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예니세이어파 케트어의 격은 격범주의 대립구조에 따라 어형변화를 하는 격변화 그룹(주격, 생격, 여격, 탈격, 수혜격, 근접격, 호격)과 어형변화를 하지 않는 비 격변화 그룹(처소격, 도구격, 노격, 결격)으로 구성된 두 개의 이질적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case category system of Ket language, the only existing language of the Yeniseian languages. After examining the usage of each case and case marker, we analyzed the singular/plural category, male/non-male category, animate/inanimate binary confrontation structure, which are important standards for the classification of cases of Ket language. Ket nouns are first classified into singular and plural, and if singular, they are classified into male/non-male categories, and if plural, they are classified into animate/inanimate categories. The three gender categories for nouns, which are male, female, and neutral, cannot be seen as a morphological difference in nominatives. Gender categories only play a dominant role in genetive case and dative, ablative, benefactive and adessive cases, which are made in basis of genetive case. It was found that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dative, ablative, benefactive, and adessive, which have binary structure according to male/non-male and animate/inanimate, as a declinable case. Locative, instrumental, abessive and prosecutive have no distinction between male/non-male, animate/inanimate, and they do not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gender, so the case markers for these nouns are similar to case suffixes or propositions. As for the vocative, it has a male/female binary structure in singular, but they don’t have any confrontation structure in plural,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standards. As such, the Ket language system does not have a clear system that appears in Indo-European languages due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the class, the hierarchy of the class, and the postposition. So the Yeniseian language case system should be viewed as a binary structure, which has a declinable group(nominative, genetive, dative, ablative, benefactive, adessive, vocative) and indeclinable group(locative, instumental, prosecutive, abessive).
Ⅰ. 서론
Ⅱ. 케트어 명사의 격체계
Ⅲ.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