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대학생 상담 프로그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대학생 상담 프로그램의 연구주제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RISS에서 2023 년 4월까지의 ‘대학생’, ‘상담’, ‘프로그램’의 주제로 연구된 국내 학술논문 1,245편을 검색하여 그 중KCI 등재후보 이상의 204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 5편 이상 연구가 발표된 학술지는 9개 108편이며, 5편 미만의 학술지는 69개 총 96편으로 조사되어 대학생 상담 프로그램연구가 다양한 학술지에 등재되고 있지만 소수의 학회지 집중 현상도 파악되었다. 키워드 빈도분석을통해 ‘프로그램’, ‘연구’, ‘진로’, ‘집단’, ‘대학생’, ‘효과’, ‘결과’ 등이 상위로 나타나 대학생 상담 프로그램은 진로와 집단상담에 대한 프로그램 효과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결과는 ‘진로상담 프로그램’, ‘스트레스 대처 능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생 유형별 학습상담’,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검증’, ‘심리적 영향 연구’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 상담 프로그램 다양화와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se text mining to understand trends in domestic college student counseling program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We reviewed 1,245 domestic academic articles on 'college students', 'counseling', and 'programs' in RISS until April 2023, analyzing 204 articles for KCI listing or high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108 articles in 9 journals had more than 5 studies each, while 69 journals published less than 5 articles, totaling 96 articles. This indicates diverse journal coverage but also a concentration in a few. Keyword analysis highlights focus on 'program', 'research', 'career', 'group', 'college student', 'effect', and 'result', indicating a research emphasis on the effectiveness of career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opic modeling identified key relevant topics. These findings provide a foundation for reinvigorating research on college student counseling program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