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방의회 정책지원관의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y Support Officers in Local Councils

  • 128
문화와 융합 제45권 8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022년 1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시행됨으로써 지방의회는 독립적인 인사권을 갖게 되었다. 본 개정안에는 지방의회의원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의정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지원 전문인력인 ‘정책지원관’ 제도를 신설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정책지원관은 의정자료 수집·조사, 조례의 제·개정, 행정사무감사및 조사, 질의서 작성 등 지방의회 운영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직책이다. 그러나 제도 운영과정에서인력 유출, 업무 과중 등 다양한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주요변수로 활용되는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중점을 두어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방의회의 역할이 점점 더 고도화됨에 따라 지방의회의 전문성을 보완하고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지원관 역할도 그만큼 중요해졌고, 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인적자원관리 연구가 그간충분치 못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찾을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의주요 결과를 통해 정책지원관의 조직몰입을 함양하기 위한 조직 및 정책 차원에서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In January 2022, local councils gained independent personnel rights. This amendment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support officer system, a specialized workforce aimed at enhancing the expertise of council members and supporting legislative activities. However, various issues such as personnel turnover and excessive workload have been identifi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To address these concerns, this study focuses on key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fair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iming to provide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s the roles of local councils become more sophisticated, the importance of policy support officers in complementing council expertise and supporting legislative activities has also grown.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organizational and policy-related recommendations to fos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olicy support officer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설계

4. 분석 결과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