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비장소를 통한 초등미술교육의 확장

Expans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rough Non-Places: Centered on the Program <Let’s go! Into the world>

  • 72
문화와 융합 제45권 8호.jpg

본 연구는 동시대 미술교육에서 나타나는 장소성의 확장을 비장소개념으로 살펴보고, 비장소를 통한 초등미술교육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대 미술교육의 장소성은 장소기반미술교육과 온라인 학습 공간의 장소개념에서 확장되어 새로운 공간의 생성, 공간의 요소로써 작용하는차원으로 전개된다. 비장소는 장소가 없는 장소로써 작용하는 일시성과 찰나성을 중심으로 공간의 정체성과 관계구조, 역사성의 결여를 바탕으로 장소개념을 확장시킨다. 비장소의 교육적 활용 사례인 <가자! 세계 속으로> 프로그램은 교육의 장소를 이동 가능한 유동적인 공간으로 확장시키며 형식적 측면에서 비장소의 교육적 활용으로 나타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전개과정에서 온라인 공간과 실제 공간에서이루어지는 사물의 발췌와 재구성은 비장소 활용의 내용적 측면으로 나타나며 인지적 유연성과 창의성의 신장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place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by using the concept of “Non-Places” an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concept of “place”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expands from the concept of place in place-based art education and in online learning spaces and becomes a way of creating a new space and acting as an element of space. The concept of “Non-Places”, which acts as a place without a place, expands the concept of place based on the identity of space, relational structure and a lack of historicity centered on impermanence and the ephemeral. The <Let’s go! Into the world> educational program, using cases of “Non-Places”, expands the “place” of education into a moveable and flexible place, and thus appears as an educational use of “Non-Places” in terms of form. In addition, the extraction and reconstruction of objects both in online space and in real space appear as a content aspect of “Non-Places” us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rogram and, as an educational meaning, tries to enhance cognitive flexibility and creativity.

1. 서론

2. 동시대 미술교육과 장소성

3. 장소성의 확장과 비장소

4. 초등미술교육에서 비장소의 활용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