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황본 『절관론』의 저자와 성립 과정은 오랫동안 논란이 되었다. 저자로 알려진 우두법융과 문헌의 관계, 그리고 선종사적 위치에 관한 전통적인 전승은 후대에 구성된 인식이고, 이것은 우두혜충(牛頭慧忠)과 학림현소(鶴林玄素)의 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두종은 북종에 대한 비판의식을 표방하는 동시에 신회의 남종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남종이나 북종과 다른 독자적인 보리달마의 계승자로 등장했다. 『절관론』의 성립은 법융과 도신의 관계가 창작되고, 보리달마에서 도신에 이르는 계보에 법융으로부터 우두혜충/학림현소에 이르는 우두종 6조의 계보가 연결되어 우두종이 달마선의 정통으로 도식화되는 시기에 가능했다. 특히 혜충의 제자 불굴유칙(佛窟遺則)은 무물(無物)의 사상을 주장하였고, 『송고승전』에 실린 그의 전기에서 남종 및 북종과 독립하는 우두학과 불굴학의 존재를 서술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그가 『절관론』의 성립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절관론』의 무물(無物)은 『조당집』에서 우두종이 아니라 앙산혜적이 전하는 혜능의 오도송으로 개작되었으며, 이후 하택종을 대체하여 선종의 주도권을 잡은 홍주종이 기억하는 혜능의 상으로 확립되었다. 우두종의 사상은 하택종이 기억하던 혜능의 ‘불성상청정(佛性常淸淨)’을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후 마조계와 석두계의 사상 안으로 내면화되었다.
Jueguanlun has been controversial over the author and the date of its establishment.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Niutou-Fayung牛頭法融, and this text, was constructed later. It seems to have been formed in the era of Huichung慧忠 and Hsuansu玄素. Ox-head school emerged as the orthodoxy of Bodhidharma, which exists independently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criticizing the Northern Chan and critically accepting Shenhui神會's Southern Chan. It is estimated that the genealogy of the Ox-head school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ueguanlun were created, and the genealogy of from Bodhidharma to Daoxin道信 and the genealogy of the 6th generation of the Ox-head school from Fayung to Huichung/Hsuansu were connected. In particular, Foku-Itse佛窟遺則 presented the idea of 'there nothing what so ever to hold to’無物,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was involved in the existence of Ox-head and Foku school independent of the Northern/Southern school in Songgaosengzhuan宋高僧傳. Jueguanlun's “there nothing what soever to hold to” was adapted as a song of Huineng慧能's enlightenment delivered by Yangshan-Huiji仰山慧寂 in Zutangji祖堂集, and later became a concept that guarantees the legitimacy of Hongzhou school洪州 by taking ideological initiative on behalf of Heze荷澤 school. Jueguanlun's Nothingness played a role in converting Huineng's “Buddha nature” delivered by Shenhui's lineage into “there nothing whatsoever to hold to” and has since been internalized as the core of history of Chan Buddhism.
Ⅰ. 문헌과 저자
Ⅱ. 우두종 계보의 성립
Ⅲ. 절관(絶觀)·무심(無心)·무물(無物)
Ⅳ. 정혜쌍유(定慧雙遊)의 문제
Ⅴ. 선종사에 미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