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충청학과 충청문화 제34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발굴유적으로 본 고려~조선시대 내포신도시의 역사적 성격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Naepo New Town in Goryeo and Joseon Period from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 44

내포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진행된 발굴조사는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문화를 보여주었다. 그중에서도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주거지가 다수 확인되었다. 주거지는 고려시대에서조선시대로 변화함에 따라 공간적 위치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그동안 내포신도시에서 발굴조사된 주거지를 살펴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 주거지와 생산시설 등에 대한 분포를 확인한 결과 대체로2-1지점과 2-4지점의 A구역에 일정 범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곳은 홍성에서 덕산으로 이어지는 옛길인 ‘발리사로’ 상에 위치하는 곳으로 동국여지승람 고적조에 전하는 ‘마여소’의 모습을 담고 있다고 판단된다. 홍주에서 덕산현 경계까지가 ‘16리’라 하고 있어마여소가 덕산의 경계에 가까운 지역임을 짐작할 수 있는데, 마여소의개략적 위치는 홍북면의 신경리, 대동리, 용산리 어간으로 추측된다. 조선전기에 들어서면서 고려시대 ‘발리사로’ 교통로 인근에 치중되어있었던 생활공간이 2-4지점의 B지점과 C지점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17세기 후기에는 전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고있으나, 전기에 비해 후기에 주거지의 수가 급감하는 현상이 파악되었다. 1-3지점에서는 주거지가 사라지고 있으며, 1-4지점에서는 주거지가 분산되는 변화가 확인되었다. 주거지 분포에서 특징적으로 2-4지점의 중앙부인 B-Ⅱ지점의 유구 집중 구역을 공방이 모여 있던 곳으로추정하였다. 공방군의 경우 수혈주거지와 같이 17세기 이후에는 감소와이동의 흐름을 따라 사라지는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임진왜란과 이몽학의 난으로 인한 내포신도시 권역 일대의혼란과 교통로의 변화 때문이다. 이몽학이 홍주성을 함락시킬 수 없어덕산으로 향하였을 당시 ‘발리사로’로 향하는 등 이 일대가 전장의 무대였던 것에 주목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예산 중심의 장시권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홍주에서 삽교를 거쳐 예산으로 향하는 교통로로 길이 변화하여 새로운 교통로 인근으로 수혈주거지의 이동하였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조선후기 수로 주변의 경작지 개간에 따른 공간 이동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렇듯이 조선후기 이몽학의 난의 영향과 교통로의 변화와 보부상의전매특권으로 인해 공방지가 쇠퇴하고, 이후 농경지 개간이 편리한 홍북면 동방송이나 대조지면 등으로 이주하여 주거의 수가 급감하였으나,2-4지점의 주촌 마을과 1-4지점의 자경리 큰말마을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생활상이 이어져 왔던 것으로 보았다.

Excavation surveys conduc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Naepo NewTown showed various culture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Joseon Dy-nasty. Among them, many residential areas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Joseon Dynasty were identified. As the residential area changed from the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the spatial location is also changing. Therefore, we looked at the residential areas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Naepo New Town and looked at the change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and production faci-lities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was found that it was generally withina certain range in Area A at 2-1 and 2-4 points. This place is located onBalisa-ro, an old road from Hongseong to Deoksan, and it is believed tocontain the appearance of Mayeoso, which is handed down to the DonggukYeoji Seungram. It is said that the boundary from Hongju to Deoksan-hyeon is “16-ri”, so it can be assumed that Mayeoso is an area close to theboundary of Deoksan. The approximate location of Mayeoso is presumed tobe Sinyeong-ri, Daedong-ri, and Yongsan-ri in Hongbuk-mye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that the living space, whichwas concentrated near the traffic route of Balisa-ro during the GoryeoDynasty, is expanding to B and C points of 2-4 point. On the other hand,it wa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region in the late 17th century, but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idences decreased sharply in the lateperio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Residential areas are disappearingat points 1-3, and residential areas have been dispersed at points 1-4point. In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areas, the concentrated area of theruins at the B-II point, the center of the 2-4 points, was estimated to bethe place where workshops were gathered. In the case of Gongjang-gun, itwas considered to disappear following the flow of decline and movementafter the 17th century, such as blood transfusion residences. The reason is the confusion in the Naepo New Town area and the changein transportation routes due to the Imjin War and the Imonghak Rebellion. It is noteworthy that this area was the stage of the battlefield, with LeeMong-hak unable to capture Hong Ju-seong and heading to DeoksanMountain to “Valisa-r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transportation route from Hongju to Yesan via Sapgyo waschange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budget-oriented market area duringthe Joseon Dynasty, and the blood transfusion residence was moved nearthe new transportation route. Finally,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spatialmovement according to the cultivated land reclamation around the water-wa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such, the workshop site declined due to the influence of Lee Mong-hak’s rebell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anges in transportation routes,and the exclusive privileges of Bobusang, Since then, the number of dwellingshas plummeted as it moved to Dongbangsong or Daejoji-myeon, Hongbuk-myeon, where it is convenient to reclaim agricultural land, It is estimatedthat 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inued around Juchon Village at 2-4points and Keunmal Village in Jagyeong-ri at 1-4.

Ⅰ. 머리말

Ⅱ. 내포신도시 수혈주거지의 현황과 특징

Ⅲ. 고려시대 공방지와 馬餘所

Ⅳ. 조선시대 自耕洞마을과 酒村마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