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는 목상(木像)을 신령으로 봉안한 당집에서당제를 올리는 전통이 이어오고 있다. 신상을 목상으로 봉안한 사례는마을신앙에서 매우 드문 사례로, 마량리 당제의 성격을 알려주는 주요한요소이다. 마량리 당제의 전통을 이해하기 위해 마량리가 지닌 역사적성격을 파악하였다. 마량리는 조선시대 해안 수비를 위해 설치한 수군(水軍) 중 절제사가 다스리던 거진(巨鎭)이 설치된 해안의 주요 요충지이다. 수군진 중 종3품의 수군첨절제사가 관리하던 거진이다. 비인만의초입에 해안을 조망하기에 용이한 삐죽이 나온 곶(串)에 설치되었다. 이곳을 지나는 선박들은 마량진에 이출입을 알리듯이 제사를 지내고,북을 쳐서 자신이 항행(航行)을 알렸다. 이들이 제사를 지내는 대상은비인만의 해역을 관장하는 신령이다. 해역 자체에 제사를 지냈을 가능성도 있지만, 당시 비인만의 주요 거진이며, 삐죽하게 삐져나온 곶이라는 공간이 지닌 특수성, 군사적 위엄성, 거기에 종교적 상징성이 어우러지며 마량진의 제당은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을 것이다. 마량리 당제의 연기설화에서 볼 수 있듯이 마량리 당제의 연원은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가 만든 신당에서 유래되었다. 첨사 사망이후주민들이 그 전통을 이어 당집에 해신(海神)을 봉안하면서 풍어와 해상에서의 안전을 기원하는 마을 제당으로 변신하였다. 마량리 제당은 현재까지 충남에서 유일하게 관치제(官治祭)적 전통을 잇는 제당이다. 제당 내에는 마을의 당집에 봉안한 위패나 당신도와 달리 조선시대 유교화 과정에서 위패로 대체된 목상(木像)이 봉안되어 있다. 비록 목상이소멸된 후 복원되었다고 하지만 목상 전통은 신앙의 고형을 이해하는주요한 대상임에는 분명하다. 아울러 마량리 당제는 충청남도 해안지역 당제 중 중요 포구나 어업의 전진기지 등에서 확인되는 당굿형 당제의 전통을 잇고 있으며, 청신(請神)-본제-대내림-송신(送神)의례로 구조화된 해안 마을신앙의 전형성도 갖추고 있다. 비록 마량리 당집과 목상은 여러 차례 훼손되어 새롭게 복원되었지만마량곶이가 지닌 군사적, 종교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기에 지역문화의보고라 할 만하다. 충청남도 해안 마을의 당제 전통을 지닌 의례 중 가장 발달한 의례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도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In Maryang-ri, Seo-myeo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thereis a tradition of holding a Dang-je(堂祭) at a Village Shrine where awooden statue is enshrined as a deity. The case of enshrining a statue ofa god as a wooden statue is a very rare case in village faith, and it is amajor factor that tells the character of the Maryangri Dang-je(堂祭). Inorder to understand the tradition of Maryangri Tang Festival, the historicalcharacteristics of Maryangri were identified. Maryang-ri is the main strategic point of the coast where Geojin(巨鎭)was installed, one of the naval forces established for coastal defense duringthe Joseon Dynasty. It was a Geojin managed by the chief naval commanderof the third rank among the naval bases. It was installed on a protrudingpromontory at the entrance of Biin Bay, where it is easy to view the coast. Vessels passing through this place held ancestral rites as if announcingtheir arrival and departure from Maryangjin, and beat drums to announcetheir passage. The object of their rites is the deity that governs the watersof Biin B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rites were held in the sea area itself,but at the time, it was a major place in Biin Bay, and the speciality of theprotruding cape space, military dignity, and religious symbolism were har-monized, and the altar in Maryangjin must have established itself as animportant space. As can be seen from the story of the performance of the MaryangriDang-je(堂祭), the origin of the Maryangri Dang-je(堂祭) is derived froma shrine built by the Sugun Cheomjeoljesa. After the death of Cheomsa,the residents carried on the tradition and enshrined the god of the sea inthe shrine, transforming it into a village altar to pray for a good catch andsafety at sea. Maryang-ri Shrine is the only shrine in Chungcheongnam-dothat continues the tradition of governmental rites. Inside the altar, unlikethe spirit tablets and spirit paintings enshrined in village houses, woodenstatues were replaced with spirit tablets during the Confucianization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 wooden statue was restoredafter it was destroyed, it is clear that the wooden statue tradition is amajor object to understand the solidity of faith. ln addition, Maryang-ri Dang-je continues the tradition of Danggut-type Dang-je, which is found in important ports and fishing forward basesamong the Dang-je in the coastal area of Chungcheongnam-do. It also hasthe typicality of coastal village beliefs structured with the rites of Cheongsin(請神) - main ceremony - Daenaerim - Songsin(送神). Although the village shrine and wooden statue in Maryang-ri have beendamaged and restored several times, it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troveof local culture because Maryanggoti has military and religious importanc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is that it has the most developed ritualstructure among the rituals with the tradition of dang-je in coastal villagesin Chungcheongnam-do.
Ⅰ. 머리말
Ⅱ. 마량리 당제의 역사성
Ⅲ. 마량리 당제의 학술성
Ⅳ. 마량리 당제의 지역성・향토성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