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우선 문화지능 이론의 바탕이 되고 있는 지능이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Q로부터 시작된 인간 지능이론에 대한 연구는 시간을 거듭하며 연구영역과 깊이가 확대 심화되며 지능 본질을 탐구해 왔다. 문화지능 이론은 이러한 지능연구 내용과 체계를 차용하고 있는데 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지능이론이 말해주고 있는 지능에 대한 후천적 요인의 중요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문화적 다양성의 상황에 필요한 인간 지능으로서의 문화지능 이론은 방해요소로서의 편견 문제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 이에 인간이 성장하며 학습하는 범주화 과정과 그로 인한 범주 편향에 대해 고찰해보겠다. 다음으로는 범주 편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문자와 미디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명사로 대표되는 문자와 영상으로 대표되는 미디어가 편견과 고정관념을 어떻게 강화시킬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은 인간 편향과 관련해 그간 이루어진 심리학적 연구 성과들을 분석해 보았다. 백여 개 이상의 이론들이 긴 시간 연구 결과로 축적되어 왔다. 이 중에서 문화지능 이론과 관련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이론들을 추려 살펴보았는데 인간 개인에게 방점이 들어간 형태의 편견과 집단 간 발생하는 편견 형태를 구분지어 고찰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will first examine the intelligence theory, which is the basis of the cultural intelligence theory. Research on the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which began with IQ, has expanded and deepened the scope and depth of research over time, exploring the essence of intelligence. The cultural intelligence theory borrows these intelligence research contents and systems, and we want to find out about them.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acquired factors for intelligence that the intelligence theory tells us. The theory of cultural intelligence as a human intelligence necessary in the context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s the problem of prejudice as an obstacle important. Therefore, we will examine the categorization process that humans learn while growing up and the category bias resulting from it. Next, we will examine texts and media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category bias. We would like to think about how texts represented by nouns and media represented by images can reinforce prejudices and stereotypes. Lastly, we analyzed the psycho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that have been made in relation to human bias. More than one hundred theories have been accumulated as a result of long time research. Among them, theories that are judged to be very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cultural intelligence have been selected and examined, and the prejudice in the form of emphasizing the human individual and the form of prejudice that occurs between groups are classified and considered.
1. 머리말
2. 지능이론과 문화지능
3. 범주화 과정과 범주 편향
4. 고정관념 딜레마, 문자와 영상
5. 판단과 신념의 편향적 사고들
6.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