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의 친환경 정책이나 개인의 친환경 행동(녹색 행동)은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개인들은 다양한환경에서 녹색 행동을 보이지만 직장에서의 녹색 행동은 회사의 자원 절약에도 직접적으로 기여를 하기 때문에 회사에게도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친환경 주제에 대한 범사회적인 중요성에 비하여, 경영학분야에서 이론적인 시각에 기반하면서도 경험 데이터를 활용하는 통합적인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시그날링 이론과 기대이론에 기반하여 직장에서 구성원들의 녹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에 대하여 개인 수준(individual-level)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그날링 이론은 정보경제적인 시각에서, 그리고 기대이론은 심리적인 시각에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독특한설명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논의들에 기반하여 녹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총1,232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서베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그날링 이론에 기반하여, 회사녹색 친화성보다는 팀 녹색 친화성이 구성원들의 녹색행동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기대이론에 기반하여,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녹색 행동이 환경 보존에 실제 의미있는 기여를 할 것이라는도구성 인지가 증가할수록 녹색 행동이 증가하는 결과도 발견하였다. 나아가서, 두 개의 시그날링 변수들, 즉 회사 녹색 친화성 인지와 팀 녹색 친화성 인지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어, 시그날링 이론에서 제시하는 시그날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증가한다는 점을 지지하였다. 한편, 회사와 팀의 녹색친화성 인지는 도구성 인지와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에 대한 이론적인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ro-environmental policies of organizations and promoting green behavior of employees are of great interests in the business context today. Green behavior at one’s workplace, among all other social contexts, especially requires additional attention as it also directly contributes to preserving the firm’s resources. Despite recent interests and emphasis on pro-environmental issues, integrative, theory-based management research using empirical data on these topics remain scarce. To further complement the extant literature, the current research conducted multi-faceted analyses on factors that influence employees’ green behavior at work, based on the frameworks of signaling theory and expectancy theory. While signaling theory offers explanations from an informational and economic view, expectancy theory accounts for a psychological perspective, each serving as a novel theoretical standpoint to the issues.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1,232 employees, signaling theory-based findings suggest that it is a perception of team green advocacy, rather than that of firm green advocacy, that promotes their green behavior. Moreover, expectancy theory-based findings imply that the more they perceive that their green behavior will have an instrumental and meaningful impact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more likely they are to engage in such behavior. Moreover,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he two signaling theory variables, which are perceptions of team green advocacy and firm green advocacy, provides theoretical support to the notion that the frequency of signals strengthens the signal effect. On the contrary, these variab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an instrumentality perception on employees’ green behavio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further provided.
Ⅰ. 서론
Ⅱ. 논의의 배경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