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7집 3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모·부성보호제도의 강도가 일·생활균형과 조직몰입·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제도 내재화의 매개효과와 조직내 소통의 조절효과

Effects of the Strength of the Maternal & Paternal Protection System on the Work & Life Balanc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a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

DOI : 10.36459/jom.2023.47.3.43
  • 276

육아휴직 등 모·부성보호제도는 법 중에서도 강행규정이기에 1인 이상 규모의 사업장에는 모두도입되어있는 것으로 봐야 하지만 이를 수용하고 대응하는 방식은 조직마다 다르다. 모·부성보호제도도입방식의 차이는 사업장 내에서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직무만족뿐 아니라 직장 밖의 일·생활균형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이 구성원들에게 보내는 일종의 메시지(message)라는 의미가 있는 인사제도 강도라는 개념을 모·부성보호제도에 적용하여, 육아휴직 등 모·부성보호제도의 강도가 일·생활균형과 조직몰입·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제도 내재화의 매개효과, 조직 내 소통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구성원들의 모·부성보호제도 내재화와 조직 내 소통이 모·부성보호제도 활용과 제고 효과성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보았기때문이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12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실증한 결과, 모·부성보호제도의 강도는 일·생활균형, 조직몰입·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관계에서 제도 내재화의 매개효과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는 나타났으나 일·생활균형과의 관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 내 소통의 조절효과는 모·부성보호제도의 강도와 일·생활균형의 관계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가설과 정반대로 유의미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내재화가 일·생활균형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조직 내 소통이 가설과 달리정반대의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 것은 최근의 ‘조용한 사직’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논의하였다. 모·부성보호제도는 충성심, 헌신 등보다는 받은 만큼의 일을 한다는 생각과 소통할 대상이 아니라고여기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the strength of maternal/paternal protection systems, such as parental leave, has an effect o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effect of the strength of the maternal and paternal protection system o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and a total of 412 copie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main effe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maternal/paternal protection system had a positive(+) impact o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of the maternal/paternal protection system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rnali zation. Internaliz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work-life bal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the maternal/paternal protection system and work-life balance, bu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the maternal/ paternal protec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the maternal/paternal protection system and work-life bal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the maternal/paternal protec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It is opposite to the hypothesis. Focusing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분석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