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용자를 위한 지목 이미지 표기 서비스 방향 연구

A Study on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Mark Service for Customized to the Consumer

DOI : 10.22988/ksc.2023.39.2.006
  • 2

지목은 문자로 표기하며 지적도와 임야도에는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온라인상의 일반지도와 연속지적도 서비스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중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에게 지적정보와 공간정보를 한눈에 파악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하지만 지목은 명칭으로만 나타내고 있어서 일반 사용자가 지목에 대한 이해도가 없으면 지목을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고 지목을 다시 검색하고 찾아보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8개의 지목에 대한 이미지를 제작하였고, 지목에 대한 이미지와 지목의 설명을 온라인상으로 나타내어 일반 이용자들이 지목에 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are written in letters, and signs are used for cadastre maps and forest maps. Currently, online general maps and continuous cadastre map services are used by many people, and they can be used by overlapping them. This helps general users who use the service to grasp intellectual and spatial information at a glance. However, since the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of identification is indicated only by name,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user to understand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of identification if he or she does not understand it, and he or she must endure the inconvenience of searching and searching for the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of identifica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images of 28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and images and explanations of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were displayed online so that ordinary users could easily understand Cadastral Land Classification.

1. 서 론

2. 지목의 개념 및 표기

3. 지목의 표기 현황 및 문제점

4. 지목 이미지 표기 방안

5.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