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백산학보 第126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구려 곡개의 원형탐색과 3D 디지털 복원

A Prototype search and 3D digital restoration of Koguryo's ‘Gok-gae’

DOI : 10.52557/tpsh.2023.126.69
  • 53

고구려 벽화무덤에 곡개라는 물상이 나타난다. 그 유래는 중원왕조에서 황실을 비롯해 귀족들이 지녔던 물건이다. 곡개는 신분을 주변에 과시하는 위신재이자 의장품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고구려 곡개를 찾아내 그 원형을 탐색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3D 자료로 복원하였다. 그중에서 안악 3호분의 행렬도 뒷부분에 등장하는 백곡개를 복원하였다. 본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발점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곡개라고 하는 콘텐츠를 찾아내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연구 방법은 중원왕조의 문헌, 그림 자료를 검토하였다. 문헌자료를 통해, 의미, 효용성, 수여 사례 등을 검토하였다. 그림 자료를 통해, 곡개의크기. 형상, 색깔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구려 곡개 관련 그림 자료와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는 중원왕조의 곡개를 수용하여 자체적으로 활용했던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3D 디지털 자료로 복원하였다. 곡개에 대한 원형탐색과 3D 디지털 복원은 고구려 문화유산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활용에 기초적인 단서를 제공할것으로 전망된다.

Koguryo's mural tombs contain an object called a 'Gok-gae.' In this study, we discovered and reviewed Koguryo's 'Gok-gae' and restored the 'Gok-gae' of Anak Tomb No.3 using 3D digital data. Anak Tomb No.3 is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he 'Gok-gae' was a prestigious item used to display one's status in public and was symbolically worn by nobles, including the imperial family of various Chinese dynasties. It later became an ornament in the royal courts of Koryo and Joseon. This study is a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collecting and reviewing literature and paintings from Chinese dynasties to extract their uses, meanings, and forms. Based on this, a comparative analysis of Koguryo's 'Gok-gae' and related pictorial materials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we examined the meaning, utility, and instances of vouchsafe of the 'Gok-gae.' With the pictorial data, we examined the size, shape, and color in detail. We discovered that the Koguryo 'Gok-ga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arious ornamental objects used by Chinese dynasties. The digital prototype reconstruction of the 'Gok-gae'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clues for reconstructing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Northeast Asia, particularly regarding Koguryo ornaments.

Ⅰ. 머리말

Ⅱ. 자료에 기반한 곡개의 원형탐색

Ⅲ. 곡개의 3D 디지털 복원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