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법학논총 제30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국제협정: 세 가지 패러다임에 관한 검토와 시사점

Thoughts on the new international law-making: A new form of international agreement revisited from a triptych of academic disciplines

DOI : 10.18189/isicu.2023.30.2.3
  • 63

전통적인 국제법상 국가간 합의, 즉 강학상 국제조약으로 분류될 수 없는 새로운 방식의 행정협정은 국제사회의 긴밀화와 국제관계의 중요성에 상응하여 정치학, 국제법, 헌법학적으로 많은 다툼을 제공하고 있다. 국제법학자(國際法學者)들은 미국의 대통령이 국제주의자이건 고립주의자이건 국제의무를 기꺼이 받아 들이건 그로부터 탈출하건 상관없이 21세기 국제법의 제정은 형식적 기준보다는 보다 실용적 기준을 통하여 이해하여야 하고, 우리는 헌법이 부여한권한을 보다 현실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국제조약의 헌법적 논란은 1990년 로렌스 트라이브(Laurence Tribe)가 클린턴 정부의 북미자유무역협정 가입을 위한 의회와 행정부간 절차가 위헌적이라고 지적한 것에서 시작한다. 그는 신국제협정은 헌법의 문언과 구조에 반하는 위헌적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정치학자(政治學者)들은 정치는 가치의 배분이고 신행정협정은 의회 정치의 관점에서 살아 있는 생물과 같이 국내 정치와 국제 정치를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비공식적 절차와 의회 관행에 주목하면서 신국제협정의 필요성과 불가피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학설상 논란 상황에서 우리는 그것이 무엇이며, 어떠한 유형이 있는가 살펴보고, 그 정당성(正當性)에 관한 학설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는 기초적이고 법철학적인 것이지만, 구체적 현실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신국제협정에관한 학자들의 인식은 접근하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데, 본고에서는 신국제협정에 대한 3가지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그 의의와 시사점을 생각해 본다.

From the traditionalist position on international law, a new form of compact agreement, which cannot be classified as an international treaty in terms of academic framework, had long fueled much of contention in politics, international law, and constitutional law. A growing practice of compact agreement had been natural as corresponding with the global compression of international community and rising aspiration of peace regime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The scholars of international law believe that, regardless of whether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s an internationalist or an isolationist, the enactment of international law in the 21st century will be based on more pragmatic rather than formal criteria. It is still true whether or not he is willing to accept or escape the international obligations so that we can more realistically share the powers conferred by the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a constitutional controversy on somewhat mushy yet sophisticated issues on the compact agreements began with the Laurence Tribe's acrimonious criticism in 1990. He argues that a procedure between Congress and the executive branch for the Clinton administration's accession to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NAFTA) is unconstitutional. His criticism pointed out that the NAFTA is unconstitutional since it is contrary to the text and structure of the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scholars of political science believe that, while a politics is termed as the distribution of values, the new form of compact agreement serves connect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as a living organism and must be affirmed from the standpoint of parliamentary politics. The political scientists argue on the necessity and inevitability of a new form of international agreement as pursuant to the nature of political process on informal procedures and parliamentary practices. In respect of the theoretical controversy, the paper is devoted to survey what the new form of compact agreement is, what types we can identify and explore the theoretical contest among the disciplines. As the dealings of paper attempt to touch on the core of scholarly assertions as fundamental and philosophical, the endeavor could inculcate the mind of international lawyers within and outside the government by providing a better framework to understand the specific real-world issues. The perception and rationale for the new form of international agreement should differ varying with their academic disciplines from which their thought stems from. The paper ends with implications within the grand scale of jurisprudence.

Ⅰ. 문제의 제기

Ⅱ. 신국제협정과 국제조약

Ⅲ. 신국제협정과 정치학적 패러다임

Ⅳ. 신국제협정과 국제법 패러다임

Ⅴ. 신국제협정과 헌법학 패러다임

Ⅵ. 결론: 의의와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