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판소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화 <광대:소리꾼>의 서사 구성 전략을 통해 본 판소리 서사 활용 창작의 가능성과 한계

The Narrative Composition Strategy of The Movie <The Singe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reation Using Pansori Narratives

DOI : 10.18102/jp.2022.04.53.39
  • 18

영화 <광대:소리꾼>은 등장인물들을 각각 서사의 주체로 했을 때, ① 역모 무리와 자매조직의 서사, ② 자매조직에 납치된 간난의 서사, ③ 간난을 찾아가는 학규 일행의 서사, ④ 몰락양반에 의해 구성되어 가는 ‘춘향가’ 서사, 그리고 ⑤ 심청과 심봉사에 의해 구성되는 ‘심청가’ 서사들에 의해 구성된다. 각 서사가 각자의 방향대로 진행되다가 결말부의 대관영 연회 장면에서 하나로 합쳐지면서 극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서사 구성을 통해 ‘심청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재현함으로써 당대 현실을 바탕으로 한 상황 설정과 인물 창조, 민중의 경험적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낙관적 희망의 서사를 보여주었다. 여기에 ‘춘향가’ 서사를 결합시키면서 절정부를 구성하는 전략을 통해 핵심 문제가 해결되는 서사 구성을 갖춤으로써, 가족에게 벌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섰던 학규의 서사는 비슷한 삶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던 백성들과 함께 희망을 찾아가는 연대의 서사로 나아가게 되었다. 다만, 그것이 문제 해결을 위한 손쉬운 선택이 되었다는 점, 새로운 해석과 깊은 통찰을 통해 현대 관객에게도 공감과 감동을 선사할 수 있는 작품으로 재맥락화되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지적할 수 있다. 하나의 의미 있는 시도를 보여준 영화 <광대:소리꾼>에 대해서 응원을 보내면서도, ‘지키고 발전시켜야 할 판소리의 특성과 본질’에 대한 관심과 고민 속에서 더욱 욕심을 내면서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게 된다. 앞으로 ‘만들어갈 문화’로서의 판소리에 대해서 음악적 모색과 함께 서사적 특질을 현대에 어떻게 살릴 수 있을지 고민하는 일은 더욱 적극적으로 지속될 필요가 있다.

The movie <The Singer> ambitiously reproduces the process of forming pansori works by combining ‘Simcheongga’ and ‘Chunhyangga’.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literary aspect of pansori, and analyzing the strategy of combining the narrativ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using the pansori narrative as a story content were examined. In the movie <The Singer>, when each of the characters is the agent of narrative, ① the narrative of a conspiracy bunch and a ‘selling oneself organization’, ② the narrative of the 'Gan-nan' kidnapped by the ‘selling oneself organization’, ③ the narrative of 'Hak-gyu' and his party who search for 'Gan-nan', ④ the narrative of the fallen yangban. Each narrative proceeds in its own direction and merges into one at the end of the grand banquet scene at the end, maximizing the dramatic effect. By reproducing the process of creating 'Simcheongga' through this narrative composition, it showed a narrative of optimism based on situational setting and character creation based on the reality of the time, and empirical universality of the people. By combining the narrative of 'Chunhyangga' and having a narrative composition in which core problems are resolved through the strategy of forming the climax, Hak-gyu's narrative, which set out to solve the problems that occurred to his family, is the story of the people suffering from similar life pains. It has moved on to a narrative of solidarity that seeks hope together. However, it is a pity that it has become an easy choice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at it has not been recontextualized as a work that can give sympathy and emotion to modern audiences through new interpretations and deep insights. I support the movie <The Singer>, which showed a meaningful attempt.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ssence of pansori to be preserved and developed,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think more actively about how to reviv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pansori as a 'culture to be created' in the future.

1. 서론

2. 영화 <광대:소리꾼>의 서사 구성 전략

3. 판소리 서사 활용 창작의 가능성과 한계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