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판소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박동진창 단가 <광대가>의 음악적 연구

A Study of Dong-Jin Park’s Pansori Danga “Gwangdaega”: Focusing on Musical Characteristics

단가 <광대가>는 과거에 사설로만 전승되다가 판소리 창자들이 작창을 하여 부르기 시작했는데, 박동진 명창이 1990년대 초 <광대가>를 부른 음원이 남아있다. 박동진의 단가 <광대가>는 광대가 갖추어야할 네 가지 덕목과 광대의 소리하는 법례와 당대 8명창들을 중국 당송(唐宋) 문인들과 비교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악적인 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우조, 평조, 계면조 악조를 활용하고 있다. 아래 음역이 확장 되어 2옥타브의 넓은 음역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시적인 4도 위 변조변청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도’음을 꺾지 않고 흘리는 경우와 ‘레’ 음을 요성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종지선율 분석에서, 종지선율은 상행종지형과 동음종지형의 형태가 하행종지형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다. 종지음은 모든 종지형에서 도와 솔이 종지음으로 주로 사용되며, 상행종지형은 ‘레’ 음에서 ‘미’ 음으로 종지한다. 붙임새는 ‘대마디대장단’과 당겨붙임・밀붙임・잉어걸이・합장단밟기・교대죽・주서붙임 등 다양한 붙임새를 사용했다. 박동진의 단가 <광대가>는 사설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악조와 선율과 장단 붙임새가 사용되는 등 음악적 구성력도 함께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음악적 변화는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는 선율진행을 보이며, 원래 단가 소리의 대부분이 평조나 우조로 짜여 져서 화창하거나 평온한 느낌 또는 꿋꿋하고 기개 있는 악상으로 노래했던 것과 유사한 선율이다. 후에 박동진은 여러 차례 녹음에서 다양한 선율ㆍ붙임새 등 변모를 이루며 <광대가>를 연행을 하게 되는데 이는 박동진이 판소리 음악의 다양한 기법을 통하여 예술성을 표출하고 있다.

“Gwangdaega,” a Pansori danga (短歌), is a short song written by Jae-Hyo Shi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the only lyric that suggests an aesthetic theory about Gwangdaega Pansori. Danga acts as a short prelude that helps the singer relieve his throat and warm up his voice before singing Pansori with a long narrative structure. “Gwangdaega,” a short song translated as “The Song of Clowns,” was handed down only as an editorial; however, Pansori singers began to compose and sing it. The source on which master singer Dong-Jin Park relied when singing “Gwangdaega” in the early 1990s is extant. Dong-Jin Park’s danga “Gwangdaega” presents the four virtues of a clown, the law of the clown’s voice, and a comparison of the eight master singers with wri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of China. The major musical characteristic of “Gwangdaega” is that it utilizes Ujo, Pyeongjo, and Gyemeonjo. The lower vocal range is expanded to a wide range of two octaves and a temporary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four notes higher are also used.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do sound is shed without breaking it and the re sound is floated. An analysis of the cadences employed reveals that the ascending and homophonic cadences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descending cadence. In all the cadences, mainly do and sol are used as ending sounds, and in the ascending cadence, sounds from re to mi are used. For the Buchimsae, Daemadi-Daejangdan and various Buchimsae were used. Dong-Jin Park’s danga “Gwangdaega” has a musical composition where various tones, melodies, rhythms, and Jagndan Buchimsae are us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editorial. This musical change shows a melodic progression with repetitions of tension and relaxation. Most of the original danga sori consists of Pyeongjo or Ujo; therefore, it is a melody resembling those that is sung with a sunny or calm feeling or a strong and energetic musical motif. Dong-Jin Park later performed “Gwangdaega” with various melodies and Buchimsae. He expresses his artistry through various techniques of Pansori music.

1. 머리말

2. 단가 <광대가>의 사설 구성과 의미

3. 단가 <광대가>의 음악적 특징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