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앙사론 제59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15세기 정권의 안정화와 圖讖의 위상 변화

圖讖 해석의 정치적 의미를 중심으로

본 글은 조선 태조 대부터 성종 대에 이르기까지 정권을 안정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도참의 위상 변화와 그 의미를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첫째, 夢金尺, 受寶籙을 중심으로 개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국세력이 도참을 구성했던 방식을 분석하고, 거기에 담긴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夢金尺에는 유교의 天命사상이 깔려 있었으며, 受寶籙에는 왕과 신하의 협력적 관계가 내재해 있었음을 구명하였다. 둘째, 태종 대의정치적 상황과 연계해 태종이 夢金尺, 受寶籙을 비판했던 이유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태종의 비판은 왕조의 안정화와 왕권 강화를 통한 국왕중심의 정치체제 확립과 관련이 있었음을 구명하였다. 셋째, 세종이 龍飛 御天歌를 편찬한 목적과 그에 따른 개국에 관한 도참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龍飛御天歌의 편찬에는 개국에 관한 도참을 인정하되, 그 가치를 희석하여 개국의 필수적인 요소가 아닌 부수적인 요소로 한정하려던 의도가 있었음을 구명하였다. 넷째, 天文, 地理, 陰陽에 관한 모든 서적을 세조, 예종, 성종 대에 수납했던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3대의 걸쳐 시행된 수납 조치는 도참을 다룬 서적을 검열하고 걸러내는 데에 목적이었음을 구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status of Docham and its meaning in the process of stabilizing the regime from King Taejo to King Seongjong. First, the composition method and meaning of Monggeumcheok(夢金尺) and Suborok(受寶籙)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were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Monggeumchuk contained Confucian's Mandate from Heaven(天命) and political ideas, and Suborok contained political theory of prime minister. Second, the reason why King Taejong criticized Monggeumcheok and Suborok was analyzed through the political situation. It was revealed that Taejong's criticism was related to the stabilization of the dynasty,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and establishing a king-centered political system. Third, the purpose of King Sejong's compilation of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and the resulting change in the status of Docham were analyzed. Although it acknowledged the Docham about the founding of the country, it revealed that it intended to dilute its value and limit it to a side element of the founding. Fourth, the process of storing all books related to astronomy, geography, and yin and yang in King Sejo, King Yejong, and King Seongjong was analyzed.At that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ection measure was aimedat censoring and filtering books dealing with Docham.

Ⅰ. 머리말

Ⅱ. 건국 세력의 도참 활용

Ⅲ. 태종의 왕권 강화와 도참에 대한 비판

Ⅳ. 세종∼성종 대 도참에 대한 통제 강화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