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한국가톨릭교회의 사제 양성은 교육 연한 12년 이상이 소요되는 장기 프로그램으로서 식민지 시기의 독특한 지식인 집단을 탄생시켰다. 프랑스 선교사들의 반근대·반공화 주의의 방어기제가 신학교 교육에 관철되었다는 점에서 이 독특함에는 근대와 반근대의 충돌과 혼란이 추가되었다. 혁명과 공화에 대한 자부심과 동시에 세속적이고 반교회적 가치에 대한 노여움이 내면화된 선교사들에게, 소위 ‘독서의 폐(弊)’를 들먹이며 고급 교양을 차단하는 일본의 식민지 교육정책은 절묘한 동의를 불러일으켰다. 선교사들은 ‘인가’ 체제를 수용하되 실제 교육에서 교회의 가치를 포기하지 않음으로서 이면적 비동의로 대처했다. 소위 근대교육의 열풍과 자유주의 사조가 청년들의 불온을 부추기고, 결국은 사회주의의 온상이 된다는 판단은 선교사집단이나 식민당국 양자에게 똑같은 위험으로 인식되었고, 고등교육은 기피되었다. 바티칸 차원에서까지 요구된 연합(대)신학교 설립 및 신학교 개혁요구는 (소)신학교의 중등교육 인가로 미봉에 그치고, 사제 양성의 최고 학부인 신학대학 인가는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주교들은 범람하는 자유주의를 ‘나쁜 정신’으로 호명하면서 신학교에서 재빠르게 거세했지만, 근대와 반근대의 혼란 속에서도 각성된 의식자체가 소멸될 수는 없었다. 3.1운동이 만들어낸 상해의 망명 공화정부는 마침내 한국인 사제들에게 ‘공화’와 ‘문명’이라는 금기어를 열어젖혔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raining of priest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a long-term program that spanned over 12 years of education, giving rise to a distinctive group of intellectuals during the colonial era. This distinctiveness was further compounded by the conflict and confusion between modernity and anti-modernity, with the defense mechanisms of French missionaries' anti-modernism and anti-republican ideology being integrated into seminary education.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policy, which undermined advanced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so-called 'harm of reading', drew exquisite agreement from missionaries who were proud of the revolution and republic but internalized anger against secular and anti-church values. The missionaries accepted the 'accreditation' system while tactfully retaining the church's values in actual education, and dealt with it with a backside disagreement. The so-called fervor for modern education and the legacy of liberalism stirred unrest among the youth. The notion that it eventually fostered socialism posed an equal risk perceived by both the missionary groups and colonial authorities, leading to a reluctance towards higher education. Reques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united theological seminary and the reform of existing seminaries, even those demanded at the Vatican level,were stymied as they were relegated to minor seminary-level secondary education accreditation. The accreditation for the theological college, which boasted the finest faculty for priestly training, was ignored. The bishops swiftly countered the burgeoning liberalism as a 'negative influence' and promptly removed it from the seminaries. However, even amidst the tumultuous clash of modernity and anti- modernity, the awakened consciousness itself couldn't be extinguished. The exiled republican government in Shanghai, formed by the March 1st Movement, finally unveiled the forbidden terms 'republic' and 'civilization' to Korean priests.
Ⅰ. 머리말
Ⅱ. 반근대주의와 식민지교육 정책
Ⅲ. 근대의 차단과 고등교육 기피
Ⅳ. 금기된 발화-공화와 문명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