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판소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20세기 초반 활자본 춘향전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written printed books of Chunhyang-J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 18

20세기 초반 새롭게 등장한 활자본 춘향전은 <옥중화>를 중심으로 개작되고 변모하였다. 총 28종 71개에 이르는 활자본 춘향전 내에서 <옥중화>의 자장권내에 있는 <옥중화> 계통본은 <옥중화>를 포함하여 21종 60개에 이른다. 결국 20세기 초반 춘향전의 변모는 <옥중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옥중화>와 <옥중화> 계통본이 당대에 이렇게 높은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옥중화>가 20세기 초반 춘향전의 변모 양상과 그 맥을 함께 하면서 춘향과 몽룡의 ‘애정’과 ‘사랑’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집중시켰기 때문이다. 두 주인공의 ‘사랑’에 초점을 맞춘 이야기 전개는 춘향을 이상화 시키면서 동시에 춘향의 ‘사랑’을 이상화하는데 성공하였고, 다른 주변 인물들은 춘향의 ‘사랑’을 고귀하게 만들기 위해 격하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변모와 개작의 의미는 활자본 춘향전이 주로 향유되던 1910년대 사회가 요구하는 ‘애정’관의 변화를 적절히 수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20세기 초반 활자본 춘향전의 변모와 개작은 주인공들의 ‘애정’과 ‘사랑’을 중심으로 초점화되며, 신분제의 모순이나 탐관오리의 횡포와 같은 사회적 의미들을 약화시키고 있다. 20세기 초반 활자본 춘향전들은 1910년대 활발히 펼쳐진 전통연희의 영향을 받았음을 조심스럽게 예상해 볼 수 있다. 대화와 지문을 구분하는 출판형태는 당대 창극의 형성과정에서 이루어진 판소리 분창의 형태와 유사할 수 있기 때문이며, 서사 진행과 별다른 관련이 없는 다양한 삽입가요의 삽입은 작품의 흥미적 요소를 배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 역시 당대 전통연희의 흥행과 밀접한 관련이 보이기 때문이다.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written printed books of Chunhyang-Jeon in the early 20th centurySeo, You Seok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printed book of Chunhyang-Jeon has been rewritten, mainly based on the <Okjunghwa(Flowers in the prison)>. Among the 71 printed books, which are classified into 28 types, the 60 printed books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Okjunghwa>, and the number of the types of the books are 21 kinds, inlcuding <Okjunghwa>. <Okjunghwa> and the various versions of this book focused on the 'love' between Chunhyang and Mongryong. The printed books of Chunhyang-J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succeeded in idealizing Chunhyang and Chunhyang's 'love' toward Mongryong at once. This implies that the readers and writers of Chunhyang-Jeon accepted the changes of the viewpoint on the love in those tim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inted books of Chunhyang in 20th century focused mainly on the 'love', and weakened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problems induced from the caste system. The printed books of Chunhyang-J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regarded carefully to be affected by the styles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The dialogues and explanations written in those printed books is like the performances of the various singers in a Pansori, and the insertion of the various traditional songs seemed to be borrowed from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Ⅰ. 서론

Ⅱ. 활자본 춘향전 내에서 <옥중화>의 위상

Ⅲ. 활자본 춘향전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