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18~19세기, 조선의 지배질서가 혼란을 보이던 무렵의 관인사회 모습을 담고 있는 <배비장전>의 의미망을 분석한 것이다. 이 작품은 기본적으로 배비장의 훼절 사건을 중심으로 서사가 진행되는데, 이를 통해서 우리는 작품 내에 이질적인 풍자의미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배비장을 훼절시키는 사건에 관계하는 두 시선으로서, 애랑과 방자를 중심으로 한 시선과, 목사와 비장들을 중심으로 한 시선이 그것이다. 이 두 시선은 각각 다른 동기로 배비장을 훼절시키려고 한다. 전자는 지배층의 위선을 비웃어주기 위한 것이고 후자는 동류집단에 어울리지 않는 경직성을 무너뜨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시선의 동시적 관여는 우리로 하여금 이 작품이 다른 판소리 작품들과 같이 민중들과 양반들의 합작품임을 짐작할 수 있게 해 준다.그러나 우리가 더욱 주목할 것은 이 작품의 상반된 두 시선을 아우르는 공통분모가 다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곧 이질적인 풍자들을 꿰뚫어 전체적으로 작용하는 부패한 관료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 역시 함께 나타나고 있는 점이다. 이 풍자의 시선은 배비장이라는 한 개인의 훼절사건을 뛰어넘어서 작품이 반영하고 있는 당대의 관료문화 전체를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시선에 제주목사와 비장들, 그리고 그들의 퇴폐한 관료문화가 걸려들면서, 작품은 확장된 의미망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nalyzed for the hidden meaning of deep import in <Bae-Bi-Jang-Jeon> which connotes bureaucratical aspects of disorder during in a state of confusion at Cho-Seon Dynasty in 18 to 19th century. This literary is basically shown us on going through abandon of its principle in Bae-Bi-Jang, so we understand that the meaning of culture at different nature of a bitter satire on society. These are the two points of view which is so called the common people, A-Rang and Bang-Ja and the other is Senior officer at Je-Ju Island and the bureaucratic. These two points of view are going to abandon on their own purpose of different motives. The former shows the purpose to scorn at the hypocrisy of ruler group and the latter intends to demolish the bureaucratic stiffness which is not in keeping with same class. These aspects of two points of view are giving us to estimate that this literature is combined with the popular movement and the two upper classes of old Korea as similar with other narrative musical form unique to Korea, Pansori. But we are to worthy of notice that shows us the common factor of two aspects that on this literature is contrary to each other. This also works totally on that the meaning of cultural differentiation that penetrate through nature of a bitter satire on society. This aspect of view in this satirical literature is understanding that passing over aiming at the custom of Cho-Seon Dynasty further than a personal abandonment. Senior officer in Je-Ju Island and the depraved bureaucratic and their culture is combined with each other at this literature of the network of meaning.
1. 들어가는 말
2. <배비장전> 서사에 나타나는 이질적인 풍자의미
3. <배비장전> 전체에 작용하는 풍자와 그 의미망
4.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