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판소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고제 심청가 <범피중류> 연구

A study in <Beompijungryu> in Sim-cheong-ga of Junggoje

  • 12

중고제 판소리는 동편제나 서편제와 비교할 때 전체 이야기 구성이나 구체적인 사설, 선율면에서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이 그간 밝혀져 왔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독특한 중고제의 특성이 심청가 중 <범피중류> 대목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이동백․김창룡․심상건이 부른 중고제 <범피중류>는 송광록의 더늠인 <범피중류>를 수용하되, 도입부에 선인들이 배를 노저어 가면서 부르는 노젓는소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른 유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 중고제 판소리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노젓는소리 앞부분에 선인들이 심청이를 배에 태우고 출항하는 내용이 길게 서술되는 점에서도 공통적인데, 이 부분을 두 창자 모두 창조 도섭으로 부르고 있다. 노젓는소리 부분은 김창룡의 음반에서 가장 길고, 이동백은 매우 소략하다. 그러나 이동백의 음반은 심청가 창극 전집 음반으로 소리가 축약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선율이 유사하게 진행된다. 이에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중고제 판소리 <범피중류>에 이 대목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였다고 하겠다. 둘째, 이동백은 주로 글자 한 글자에 한 음씩을 대입 시키면서 선율이 복잡하지 않고 간결하며, 유사한 선율 형태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동․서편제 창자 및 이동백과 비교하여 선율이 비교적 평탄하고, 김창룡은 한 장단에 두 세 글자만 두어 한 음을 길게 쭉 뻗어 내는 선율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김창룡은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은 심상건의 다른 소리에서도 발견된 바, 중고제 창자들의 소리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악조는 각 창자마다 우조나 계면조의 사용이 다양하고, 유파에 따른 공통점이나 특성은 찾기 어렵다. 붙임새는 김창룡의 경우 확대형태를 많이 사용하고, 김소희는 엇붙임을 유일하게 사용하는 점에서 독특하지만, 역시 유파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정리하자면, 중고제 판소리 심청가 <범피중류>에서 유파적 특성은 악조나 붙임새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사설과 선율에서 주로 발견되며, 송광록의 더늠 <범피중류>를 수용하였으되, 동․서편제와는 또 다른 소리 계보로 서로 관련되어 발전하였다고 하겠다.

Junggo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Chungcheong and Gyeonggi-do) pansori has very unique style of melody with overall story structure and specific narratives compared to Dongpyeon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eastern part of Jeolla-do) and Seopyeonje (singing style of pansori in western part of Jeolla-do) which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In this paper, I studied how such unique characteristics of Junggoje are represented in <Beompijungryu(the part when Sim Cheong departs to become a sacrifice offering)>. As a result, <Beompijungryu> sung by Lee Dong-baek,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commonly included 'sounds of rowing a boat' which was not discovered in singers of other pansori sect. Moreover,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described the scene that seamen took Sim Cheong on board and departs. This part was sung with creative impromptu like a narration and commonly seen in Junggoje. Each singers used diverse styles of mode, and Butsimsae(narration in rhythm) also had no difference with sectors. The melody form of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were comparatively plain compare to the melody of other singers. Lee Dong-beak used similar melody form repeatedly at many times. Such characteristics of melody form in Junggoje pansori were also mentioned in my precedent study. We could see Kim Chang-ryong's impromptu tendency of melody in his <Beompijungryu>. He recorded this song on side A and B dividedly. There is a part that is recorded both on A and B but the melodies are different. Such impromptu melody tendency was also discovered in Sim Sang-geon's <Daejangbuhan> record which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Junggoje pansori.

1. 서론

2. 심청가 계보 및 연구 대상 음반

3. 중고제 <범피중류> 사설 특징

4. 중고제 <범피중류> 음악 특징

5. 결론

로딩중